자연생태계

마치 폭풍전야 같은 금강 지천들의 모습…

6월 28일, 금강을 찾았습니다. 이번 모니터링은 6월 모니터링이면서 2013년 상반기 마지막 모니터링이었습니다. 공주, 청양, 부여지역의 금강 지류지천 위주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모니터링은 오전 10시부터 오후5시까지 공주, 청양, 부여 지역의 지류지천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금강 우안을 따라 공주로 이동을 하면서 석장천을 가보았습니다. 역행침식 등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다음으로 공주시와 인접해 있는 정안천을 찾았습니다. 번화 된 곳에 있는 곳이다...

6월 월평공원 모니터링 – 물고기 탐사 갔다 왔어요~

6월 29일 토요일 오전 10시 월평공원 갑천 시민대책위는 내동 마을도서관 아이들과 함께 6월 월평공원 모니터링-어류탐사를 갔다 왔습니다. 오전에 비가 온다고 해서 갈 수 있을까 걱정을 많이 했지만 다행히 날씨는 아주 화창했습니다. 다만 햇빛이 강해서 나이가 어린 아이들이 힘들어하진 않을까 걱정이 됐지만 월평공원에 도착한 아이들이 신나하는 모습에 보니 그런 걱정은 사라졌습니다. 이번 어류탐사 모니터링에는 신옥영 선생님, 내동 마을도서관 김계숙관장님, 대전환경운동연합...

태양지공 3호 마을어린이도서관 잔치하는 날!

                 태양지공 3호 마을어린이도서관 잔치하는 날! -햇빛으로 책을 읽는 세 번째 마을어린이도서관이 생겼어요- 6월 26일 오후 4시 반, 전민동의 모퉁이어린이도서관에서 태양지공 3호 마을잔치가 시작되었습니다. ‘태양지공’은 반딧불이와 눈빛에 의지해 글을 읽는다는 고사성어 ‘형설지공’에서 따온 것으로 태양빛으로...

2013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2013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2013년 6월 10일(월) 오전 11시, 중구 중촌동 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 2층 회의실에는 블루스카이프로젝트 협약식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미래세대의 환경 교육과 대전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9년째 진행 중인 블루스카이프로젝트는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뿐 아니라 대전의 여러 마을어린이도서관에서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날 협약식에는 해뜰마을어린이도서관의 이미라 관장, 이혜경 사무장,...

5월 월평공원 모니터링_공사가 진행중인 관통도로 공사현장에 다녀오다

24일 금요일 오전 10시 월평공원 갑천 시민대책위에서 5월 월평공원 모니터링을 다녀왔습니다. 덥고 햇빛도 매우 강한 날씨여서 야외활동을 하기 힘든 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내동 작은나무 어린이 도서관 김계숙 관장님, 신옥 영 선생님, 김병훈 회원, 대전충남녹색연합 고지현 녹색사회국 부장, 김성중 간사, 신대철 간사가 함께 모니터링을 진행 하였습니다. 그리고 잠시 대전환경엽합 이경호 국장님도 참여하셨습니다. [사진1] 걸어가다 만난 호박벌 징검다리에서 만나 갑천 하류 우안으로...

아물 수 없는 상처로 얼룩지고 있는 금강 – 금강현장모니터링

아물 수 없는 상처로 얼룩지고 있는 금강 5월 15일 금강을 찾았습니다. 갑작스레 더워진 날씨로 공주보, 백제보, 세종보 일대에 녹조가 발생하지 않을까하는 염려 때문이었습니다. 이번 현장조사는 오전 9시부터 7시까지, 정민걸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와 김종술 기자,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 김성중 간사, 지역방송사 등과 함께 금강 전 구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역행침식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던 치성천입니다. 다시 찾은 치성천은...

무너지는 금강, 역행침식의 역습

        무너지는 금강, 역행침식의 역습 4대강 사업 준설로 인한 역행침식으로 부여 지천 농경지 붕괴 청양 치성천 가마교 일대 저수호안 붕괴 4대강 사업이 집중적으로 진행된 공주, 부여 일대 금강의 환경변화가 심각하다. 작년 준공이후 대규모 녹조 발생, 물고기 떼죽음에 이어 역행침식 피해까지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녹색연합은 지난 3월 22일 공주, 청양, 부여 일대 금강 본류로...

농민 울리는 금강정비사업

농심 울리는 금강정비사업 3월 22일 금요일 금강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활동가들은 물론 김종술 기자, 본부녹색연합의 황인철 활동가 등 총 6명이 금강 역행침식을 집중 조사했습니다. 역행침식이란 하천의 침식작용이 상류에서 하류로 서서히 진행되는 일반적 양상과 반대로 하류에서 상류 쪽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것입니다. 4대강 사업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4대강 사업으로 본류를 준설해서 본류와 지천 합류지점의 강바닥 높이 차이가 커진 탓에 여러 지천의 바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