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계

[보도자료]생명이 기지개 키는 경칩, 시설물에 갇혀 생존의 기로에 선 산개구리들

[보도자료]생명이 기지개 키는 경칩, 시설물에 갇혀 생존의 기로에 선 산개구리들

오는 3월 5일은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 매년 2월경, 고인 물, 유속이 느린 가장자리에 산란하는 북방산개구리 산란 후 산지의 설치된 시설물에 생존의 위협 받고 있어 포접 중인 북방산개구리 개구리(양서류) 이동을 위해 설치한 개구리 사다리 오는 3월 5일(금)은 경칩(驚蟄)으로 겨우내 잠들었던 생명들이 기지개를 켜고 활동을 시작하는 절기이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 1월부터 경칩 전후로 산란을 시작하는 북방산개구리 산란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모니터링을...

[논평]대전광역시 공공수목 관리의 방향과 인식 전환 필요해

[논평]대전광역시 공공수목 관리의 방향과 인식 전환 필요해

대전광역시 옛충남도청 내 식재된 향나무 128주 벌목 벌목과 과도한 전지로 일관 및 반복하는 도심 속 수목 관리 지속가능한 도시생태환경 조성을 위한 생태적 관점 필요해 지난 18일(목) 옛 충남도청 내 향나무 벌목에 대한 언론보도를 접한 시민들의 분노와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옛 충남도청 내 시설개선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담장에 식재된 50년 수령의 향나무 172주 중 128주를 일시에 벌목해 지역사회에 파장이 일고...

[성명]충남도는 예당2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불허하라!

충남도는 농촌공동체 파괴하는 예당2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불허하라 기후위기 대응 위해 충남형 그린뉴딜 추진하는 충청남도가 식량 생산과 탄소흡수원인 논 경작하는 농민들 내 쫓아서는 안 된다   ○ 충남도는 예산군 고덕면 지곡리, 오추리, 상장리 일원에 2019년부터 2024년 까지 사업비 1,294억원, 면적 905,181㎡의 예당2일반산업단지(이하 예당2산단) 조성사업 검토와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다. 예당2산단 조성 예정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곡리와 상장리는 기존...

[성명서]공주 유구 채석단지 환경영향평가 철저히 검토하라!

[성명서]공주 유구 채석단지 환경영향평가 철저히 검토하라!

공주 유구읍 녹천리 산101-1 일원 채석단지 지정 시 생태자연도 2등급, 국토환경성평가 1,2등급 지역 심각한 환경 훼손, 금강유역환경청은 공주 유구(2) 채석단지 지정 환경영향평가 철저히 검토하라!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녹천리 산101-1번지 일원에 면적 513,761㎡의 대규모 채석단지가 들어설 위기에 처해있다. 해당 위치는 관불산 북동쪽의 산지이며 임야로 되어 있는 곳이다. 약 30년 동안 북동쪽 사면 전체를 토석 채취로 인해 훼손된다는 것이다....

[논평]금강 보처리방안에 대한 정진석 의원의 아전인수 식 정치해석 규탄한다.

[논평]금강 보처리방안에 대한 정진석 의원의 아전인수 식 정치해석 규탄한다.

지난 16일, 국민의힘 정진석 국회의원은 환경부의 국민인식 조사 결과라면서 페이스북을 통해 공주보와 백제보가 필요하다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미 용도가 없다고 결론난 4대강 보의 필요성을 억지로 주장하며, 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지에 대한 항목을 두고 마치 보가 쓸모있는 것처럼 곡해하여 주장하고 있다. 완전한 왜곡이고 거짓이다. 무엇보다 4대강 재자연화를 의도적으로 방해해온 스스로의 행적을 증명하고 있다.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는 정보를...

[논평]공주시 정안면 내문리 석산개발, 금강유역환경청의 ‘부동의’ 결과 환영

[논평]공주시 정안면 내문리 석산개발, 금강유역환경청의 ‘부동의’ 결과 환영

공주시 정안면 내문리 석산개발 소규모환경영향평가 결과, 공주시 사업 불허가 처분 결정 환영 ○ 지난 9월 2일 금강유역환경청(이하 금강청)은 ‘공주 정안면 내문리 석산개발(이하 내문리 석산개발) 관련 소규모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협의 결과 ‘사업추진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공주시에 통보했다. 이에 공주시는 금강청의 협의 의견으로 받아들여 내문리 석산개발 사업자에게 최종 ‘불허가’ 처분을 통보했다. ○ 공주 정안면 내문리 석산개발 사업은 산지 약 10만㎡ 면적에 쇄골재용, 토목용,...

[보도자료]2020 제10회 대전시민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 대전 도심 40곳에서 법적보호종 멸종위기2급 맹꽁이 서식 확인!

[보도자료]2020 제10회 대전시민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 대전 도심 40곳에서 법적보호종 멸종위기2급 맹꽁이 서식 확인!

  도룡동 스마트시티 5단지서식지에서 확인된 포접하는 맹꽁이(좌)와 맹꽁이 올챙이(우) 2020 제10회 대전시민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 발표 대전 도심 총 40곳에서 법적보호종 멸종위기2급 맹꽁이 서식 확인!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 5월 16일부터 7월 19일까지 지난 9주동안 대전시민 93명과 대전지역 맹꽁이 서식지 64지점을 조사한 결과 총 40곳에서 기후변화지표종 맹꽁이의 서식을 확인했다. ‘대전시민 맹꽁이 생태모니터링’은 기후변화 시대에 빠르게 멸종되고 있는...

2020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보고

2020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보고

2020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맹꽁이 집사가 되어주세요!' 결과 보고회 영상을 공개 합니다. 올해는 90명의 맹꽁이 집사님들이 64지점의 맹꽁이 서식지를 모니터링 해주시고, 맹꽁이와 서식지 보호 활동을 진행 해 주셨는데요~~ 올해는 총 40지점에서 맹꽁이를 확인할 수 있었어요!! 그 중 13지점이 새롭게 발견된 지점이에요^^ 2020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을 진행해 주신 모든 집사님들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2020맹꽁이모니터링-결과보고 유투브 영상 보러 가기...

[보도자료]선유도 흰발농게 이주사업 및 구시대적 갯벌매립 중단하라!

[보도자료]선유도 흰발농게 이주사업 및 구시대적 갯벌매립 중단하라!

- 농림부의 공유수면 매립면허 장사를 규탄한다! - - 보여주기식 흰발농게 이주작업 실효성 없음 - 군산시는 선유도해수욕장 배후의 도로건설을 위해 갯벌의 매립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매립공사에 앞서 멸종위기2급 흰발농게에 대한 포획 및 이주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군산시의 선유도갯벌 매립사업은 이미 매립목적이 사라진 매립면허를 양도받아 추진하는 것이어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군산시는 선유도해수욕장 배후의 공유수면 27,000㎡를 매립하여 도로확장과 광장조성, 완충녹지...

보문산시민조사단 1차 조사

보문산시민조사단 1차 조사

지난 5월 16일 사전교육을 마친 보문산시민조사단이 거의 2개월여만에 드디어! 현장으로 나가게 되었습니다. 코로나는 계속해서 활개를 치고 있지만, 그렇다고 보문산야생동물을 지키는 일을 소홀히 할 수 없기에, 철저하게 체온체크 등을 하고 활동에 나섰습니다. 오늘의 목표는 담비 최초 발견지점을 찾아가 한달여간 설치해둔 무인카메라 데이터를 수거하고, 새로운 지점으로 옮겨 설치하는 것! 목표지점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곳곳에 야생동물 흔적들이 있습니다. 자문으로 함께 동행한 이은재...

[카드뉴스] 도시공원 일몰제

[카드뉴스] 도시공원 일몰제

내일부터 도시공원 일몰제가 적용됩니다. 대전에서는 한밭수목원 40배 정도 크기의 공원이 사라집니다. 공원 녹지 확충을 위한 대전시의 노력이 절실합니다! 매입을 통해 공원 녹지를 확충해야합니다. 시설물 설치에 돈쓰지 말고 녹지조성에 예산 투입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