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21일(수) 오후 7시 📍 대전 커먼즈필드 모두의 공터 5월 21일 저녁, 대전 커먼즈필드 모두의 공터에서 ‘왜 공공 재생에너지인가?’를 주제로 강연과 토크쇼가 열렸습니다. 강연에는 한재각(대전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님과 이태성(발전비정규직노조 집행위원장)님이 함께했고, 총 25명이 참여해 기후위기와 정의로운 전환, 그리고 공공재생에너지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올해부터 단계적 폐쇄에 들어가는 태안 화력발전소. 이곳은 수많은 발전...
블로그
[성명] 3대하천 대규모 준설 이후 생태계 붕괴로 깔따구 창궐 예산낭비, 생태계 파괴 불러온 독단 행정 책임자 처벌하라!
3대하천 대규모 준설 이후 생태계 붕괴로 깔따구 창궐 예산낭비, 생태계 파괴 불러온 독단 행정 책임자 처벌하라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대규모 준설로 지금 3대 하천에는 깔따구와 날파리가 창궐해 있다. 하천을 산책하는 시민들은 비정상적으로 창궐한 깔따구 떼에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하천에는 깔따구와 날파리들이 존재하지만 대규모 창궐하는 것은 의미가 다르다. 특정 종의 창궐은 생태계 균형 붕괴를 의미한다. 특히, 생물들이 번식을 준비하는 봄철의 준설 강행은 이런...
함께 만드는 공존의 법, 자연의 권리 생태 컬리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부터 시작한 <함께 만드는 공존의 법, 자연의 권리 생태 컬리지>. 자연의 권리란 생태계가 법적 인격을 가질 권리를 뜻하는데요, 생명들이 태어나 살아가는 자신만의 고유한 권리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인도와 뉴질랜드, 에콰도르와 볼리비아 등에서 강이나 산, 특정 비인간 생명에게 법적 인격을 부여하여 이들은 특정 개발 프로젝트나 기후위기로 인한 환경 저하 및 피해를 방어할 수 있는 법 제도를 통해 자연환경을 지키고 있습니다. <함께 만드는 공존의 법,...
5월 녹색평론 읽기 모임 참가자 모집해요!
[미니다큐 상영회] 함께 봐요!
[미니다큐 세종/대전 공동체 상영회] 세종보 천막농성장 365일의 기록 2024년 4월 29일. 금강 영산강의 보 처리방안을 위법하게 취소하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을 날치기 변경한 윤석열은, 4대강 파괴사업 부활의 시작으로 세종보 수문을 다시 닫겠다고 했습니다. 수문을 닫는다는 5월을 이틀 앞두고 우리는 금강 변에 천막을 쳤습니다. 달이 변하는 모습을 12번 보았고, 흰목물떼새의 산란과 부화, 그리고 이제 다 자란 아기 새의 산란을 목격하였습니다. 명랑하게 이겨냈지만, 우리는...
4월 녹색평론 읽기 모임 즐겁게 이야기 나눴어요!
녹색평론 읽기 모임은 지난 4월 24일, 올해 첫 녹색평론인 2025년 봄호를 함께 읽었습니다. 이번 호 주제는 시민이 주도하는 개헌운동이었는데요, 딱 마침 민주주의에 대한 고민을 가진 모임원들이 많아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세대가 모여 있기에 87년체제가 갖는 의미를 서로 설명하고, 이번 탄핵 정국에서 광장에 나간 각자의 경험과 느낌, 소회 등을 나누기도 하였어요.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경험치가 모두 다르기에 이번 책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
[행사 취소] 생태환경문화잡지 함께 읽어요!
해당 행사가 내부 사정에 의해 취소되었음을 알립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2025년 5월 초록편지- 금강 세종보 천막농성 1년, 강을 살리고 생명을 살린 시간💚
다들 평안하신가요? 임도훈 활동가입니다. 금강변 세종보 농성 천막에서, 13번째 보름달을 바라보면서 편지를 보냅니다. 웅덩이에서는 참개구리가 가가가각 가가가각 울고, 깝작도요 삑삑삑삑, 흰목물떼새 삐요 삐요하고 노래합니다. 자갈밭에는 흰목물떼새가 엉덩이로 열심히 비벼서 만든 둥지들이 있고요, 여울 너머 풀밭에는 깝작도요 아가새들이 쫑쫑쫑 걸어 다닙니다. 이 평화를 무엇과 바꿀 수 있을까요? 윤석열 정부에서 24년 5월 닫겠노라고 했던 세종보는 아직 닫히지 않았어요. 우리...
2025년 4월 후원자 명단
녹색을 지키고 계신 아름다운 지구인님들의 4월 회비 납부 현황입니다. Ctrl + F 키를 누르고 내 이름을 찾아보세요. 삶의 모든 순간을 녹색과 함께하기로 한 평생회원! 강남석 권태집 김명수 김진욱⋅홍영미 방숭덕 오순섭 이수원 이종애 조영호 2025년 4월 회비를 보내주신 분들입니다. 감사드려요. (주)신성이앤에스 (주)인더스토리 가성현 강건규 강경숙 강경식 강공자 강누리 강도영 강선주•조미현 강선희 강수돌 강승수 강신관 강신원 강영미...
[세종보 천막농성 1주년 선언문] 4대강, 오욕의 역사를 바로 잡고 우리 강을 살게 하자.
4대강, 오욕의 역사를 바로 잡고 우리 강을 살게 하자 22조 6천억, 수심 6미터로 4대강 전역을 준설하고 16개의 보를 설치한 4대강 살리기 사업. 흐르는 강을 막았더니 강물은 썩어갔고, 깃들어 살던 생명들은 떼죽음을 당했고, 살아남은 생명은 죽은 강을 떠났다. 국민들은 큰빗이끼벌레와 녹조라떼의 등장을 목격했고 경악했다. 살아있는 강과 죽은 강을 목격한 증인들은 4대강 사업에 대해 한결같이 문제를 제기하고 강을 흐르게 하기 위해 싸웠다. 2018년 세종보 수문을 개방하자...
5.31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노동자 시민대행진 함께 가요!
발전노동자들과 함께 정의로운 전환! 대전에서 버스 타고 연대하러 갑시다! 올해 태안을 시작으로 폐쇄에 들어가는 석탄화력발전소. 발전노동자들은 공공재생에너지 확대, 고용보장을 주로 한 정의로운 전환을 외치며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에너지를 많이 쓰지만 생산은 적은 대전은 석탄화력발전 의존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발전노동자들의 외침은 외면할 수 없는 일입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환은 정의롭게 그 과정을 밟아가야 합니다. 대전에서도 노동자들과 함께 힘을...
[보도자료] 대전오월드는 시설 유지와 관람객 유치를 위한 전시목적의 개체 번식을 멈추고, 생명을 보호하고 돌보는 시설로 거듭나길 바란다
대전오월드는 시설 유지와 관람객 유치를 위한 전시목적의 개체 번식을 멈추고, 생명을 보호하고 돌보는 시설로 거듭나길 바란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시민들과 함께 대전 오월드 내 주랜드와 버드랜드 등 동물원-야생동물의 사육환경 및 전시환경 개선 촉구를 위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4월 20일 진행한 모니터링에서는 사막여우, 아무르표범, 훔볼트펭귄, 미어캣, 홍학, 반달가슴곰, 유럽불곰, 호랑이 등을 모니터링한 결과 해당 개체의 생태와 맞지 않고, 지내기에...
![[후기] 태안화력발전소 노동자를 만났습니다!](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5/06/20250620_063322-400x250.jpg)
![[성명] 3대하천 대규모 준설 이후 생태계 붕괴로 깔따구 창궐 예산낭비, 생태계 파괴 불러온 독단 행정 책임자 처벌하라!](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5/05/20250521_030335-400x250.jpg)


![[미니다큐 상영회] 함께 봐요!](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5/05/photo_2025-05-16_16-04-53-0-400x250.jpg)

![[행사 취소] 생태환경문화잡지 함께 읽어요!](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5/05/20250515_082925-400x250.jpg)


![[세종보 천막농성 1주년 선언문] 4대강, 오욕의 역사를 바로 잡고 우리 강을 살게 하자.](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5/05/DSCF3384-400x250.jpg)

![[보도자료] 대전오월드는 시설 유지와 관람객 유치를 위한 전시목적의 개체 번식을 멈추고, 생명을 보호하고 돌보는 시설로 거듭나길 바란다](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5/04/20250424_070728-40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