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계

한눈에 보는 금강정비사업 실체! 공사 전 vs 공사 후 비교사진

한눈에 보는 금강정비사업 실체 공사 전 vs 공사 후 비교사진 금강의 변화가 한 눈에 대규모 준설로 습지와 모래톱이 사라진 자리에 직선화된 인공수로만 남아 4대강사업의 완공을 앞둔 2012년 봄,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녹색연합은 강 사진기록가 박용훈씨와 함께, 4대강사업 이전과 이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비교사진 촬영을 진행하였다.  2009년 말부터 시작된 약 3년간의 대규모 토건사업은 전국의 4대강의 모습을 완전히 변모시켰다. 이번에 촬영한...

2012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시작을 내딛다!

2012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시작을 내딛다! 글.사진/ 녹색사회국 심현정 2012년 6월 27일(수) 오전 11시 중구 중촌동 한국가스공사충청지역본부 2층 회의실에서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의 블루스카이프로젝트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8년째 진행하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알차지고 있는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이번 협약식에도 우리 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 뿐만 아니라 올해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할 마을어린이도서관 분들도 참석했습니다. 해뜰마을어린이도서관의 최순예...

준공은 언제쯤? 금강 3개보 아직 보강 공사중!

6월 금강모니터링) 준공은 언제쯤? 금강 3개보 아직 보강 공사중! “ 금강정비사업 준공일이 언제입니까? ” “ 6월에 준공할 예정입니다.” “ 지금이 6월인데, 6월 언제쯤인가요? 아직 날짜가 안 잡혔나요?” “ 6월 중순쯤? 6월 안에 할 예정입니다. ” 6월 안에 준공을 할 예정이라던 금강정비사업은 6월을 일주일 앞에 둔 시점에도 여전히 보강·보수공사로 분주하다. 세종보의 잠수부는 항시 대기중? 지난 3월 세종보의 구조적 결함문제가 밝혀지고, 이 문제 때문에 세종보에...

악취와 녹조현상으로 대전천은 몸살 중! 대전천 현암교~유등천 합류부 일대 녹조 비상

대전천 현암교~유등천 합류부 일대 녹조 비상! 대전시는 진짜 대전천 살리기에 나서라! 대전천이 녹조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31일, 녹조가 심한 대전천 하류일대를 현장조사 한 결과 대전천 삼선교부터 유등천 합류부까지 약 3km 걸쳐 대규모 녹조와 악취를 확인했다. 최근 몇 년간 대전천의 이렇게 심한 녹조현상이 관찰된 건 올해가 처음이다. 대전천 하천생태계 파괴와 수질 악화 부르는 하도준설 현재 대전천은 오정1잠수교부터 단선철도(중촌임대주공 아파트 201동...

대구도시철도 3호선으로 만나본 대전도시철도 2호선의 미래

                 대구도시철도 3호선으로 만나본 대전도시철도 2호선의 미래 들어가며 지난 5월 24일, 대구도시철도 3호선 건설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에서 주관한 이번 현장 조사는 대전과 유사한 사례로 꼽히고 있는 대구 현장에 방문하여 도심 중앙부를 통과하는 지상고가 도시철도의 형식과 문제점을...

'핵이 정말 안전할까?' 강연 후기

                 지난 5월 10일, 작은나무마을어린이도서관에서 있었던 민들레 서구3권역마을모임, 땅콩마을어린이도서관, 작은나무마을어린이도서관, 한밭생협, 한살림서구운영위원회에서 준비한 김익중 교수의 강연을 듣고 왔다. 벌써 1년 하고 두 달이 더 지난 후쿠시마 원전 사고. 누군가에게는 뼈에 새겨진 기억이고, 누군가에게는...

따뜻한 봄날, 금강은 더 위태롭다

4월 금강현장모니터링) 따뜻한 봄날, 금강은 더 위태롭다. 글/ 녹색사회국 심현정 날이 확 풀렸다. 몇주 전만해도 ‘봄이야?’ 싶을 정도로 추웠는데, 이젠 조금 덥기까지 하다. 날이 풀리면서 금강 현장에서도 긴장의 고삐를 늦출 수 없다. 4월 말 준공을 앞두고 있고, 풀린 날씨에 막바지 공사가 한창일거라 예측하며 4월 17일 김종술 운영위원과 함께 현장으로 떠났다. 세종보는 준공맞이 막바지 수중준설중! 보에서 위쪽으로 50m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수중준설이 한창이다. 지난...

3월 31일, ‘지구를 위한 한 시간’ 어떠셨나요?

3월 31일, ‘지구를 위한 한 시간’ 어떠셨나요? 글/ 녹색사회국 심현정 [D-3]지구를위해불을끄는한시간 31일(토)pm8:30-9:30 3월 31일이 오기 3일전, 회원님들께 문자를 보냈습니다. 우리가 쓰는 전기와 빛 때문에 쉴 수 없는 지구를 위해 1년의 딱 하루 한 시간만이라도 모두가 불을 끄고 촛불을 켜자는 Earth Hour 캠페인. 이 캠페인은 매년 3월 마지막주 토요일에 전세계가 참여하는 환경캠페인입니다. 올해에는 작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탈핵과...

세종보 가동보 치명적 결함 확인, 정상적인 보기능 불가능

세종보 가동보 치명적 결함 확인, 정상적인 보기능 불가능 정부는 책임지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하라! ▲ 수중보 평면도 4대강사업 금강정비사업 3개보 전부 바닥보호공 유실 및 쇄굴이 진행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3월 27일 TJB대전방송 보도를 통해 세종보의 치명적 결함이 확인되어 정상적인 보 기능이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 세종보 가동보 작동방식 세종보는 수문 각도를 조절해 수위를 조절하는 개량형 전도식 가동보로 유압식 실린더가 수문을 조절하는데 문제는 가동보...

준공은 코앞인데, 산으로 가는 자전거길

준공은 코앞인데, 산으로 가는 자전거길 사진/ 녹색사회국 심현정, 수습활동가 정선미글/ 수습활동가 김미정 3월 21일, 양흥모 사무처장과 녹색사회국 심현정간사, 정선미 수습활동가와 함께 신성리 갈대밭을 시작으로 공주보까지 금강 현장조사를 다녀왔다. 주요보 두 개를 둘러보았는데 4월 준공을 앞두고 아직까지도 공사를 하고 있었다. 홍보물의 청사진속 같은 위치인데도 현실에서는 황량하기 그지없었다. 환경이 그러하니 찾거나 이용하는 사람들도 보지 못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백제보...

금강 3개보 모두 바닥보호공 유실 및 세굴

금강 3개보 모두 바닥보호공 유실 및 세굴, 끊이지 않는 문제와 피해, 정부는 근본적인 대책과 대안을 마련하라! 금강을지키는사람들은 2012년 3월 8일 ‘생명의강연구단(단장 박창근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과 공동으로 금강정비사업 주요 시설에 대한 현장조사를 진행했습니다. 3개 보의 구조물 상태, 수질조사, 어도 등 보 주변상황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바닥보호공 유실 및 하상세굴, 보 균열과 누수, 어도 기능 상실 등 심각한 문제를 확인하였습니다. 금강 3개보 모두...

4대강사업, 시민이 검증한다.

4대강사업, 시민이 검증한다. 글/ 녹색사회국 심현정 2012년 3월 8일, 아침 8시 공주보에 20여명의 사람들이 모였다. 생명의강연구단과 함께 금강의 3개보 하상세굴, 보의 균열과 누수여부, 수질조사 등을 조사하였다. 춘삼월이라고 하기엔 날씨가 무척 쌀쌀하여 후드모자를 한껏 눌러썼다. 일정은 ‘공주보-세종보-백제보’로 진행되었다. 8:20 공주보 촉촉한 봄비에도 으스러지는 금강 몇 일전 고집스럽게 내렸던 봄비가 공주보의 모습을 다르게 만들었다. 보 하류에 만들어 놓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