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무당개구리 울음소리

2011_06_28_무당개구리소리.avi 맹꽁이 서식처가 급파괴되는 것을 보고있기가 참 가슴이 아팠습니다. 여기 지금 짝짓기 중인 무당개구리 울음소리도 들어보세요.

맹꽁이 서식지 파괴

금강과 갑천의 합류점입니다. 너른 땅에 오랫동안 비닐하우스 경작지가 있었고, 최근 갑천생태하천공사로  습지조성을 위해 모두 철거시킨 상태입니다. 그곳의 물 웅덩이에서 맹꽁이 여러마리가 알을 낳고 있었습니다. 어제 소리가 났다면, 비가 하루 멈춘 오늘(2011.6.28). 맹꽁이 서식처는 포크레인으로 파괴되고 있었습니다. 포크레인 기사는 모르고 한 일이라지만, 맹꽁이의 가치를 전혀 모르는 상태고, 공사는 계속 진행하고...

4대강 금강 현장 집중호우로 그랜드캐니언 협곡이?

4대강 금강 현장 집중호우로 그랜드캐니언 협곡이?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우기동안 대규모 준설과 정비사업으로 불안정하고 취약해진 금강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있다. 지난 6월 25일과 27일 집중적으로 조사한 결과, 주요 하천 합류부와 금강 둔치에서 침식과 유실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정부의 유일한 우기 현장 대책인 하상유지공도 제대로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금강 그랜드캐니언 공주시 월송동 월송교차로 아래 금강 둔치가 집중호우로...

이장미 회원 부친상

이장미 회원의 부친께서 2011년 6월 28일(화) 노환으로 돌아가셨습니다. 발인은 6월 30일(목), 보훈병원 장례식장 1층 4호실에서 있다고 하네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보도자료] 금강 그랜드캐니언 협곡 생기다

4대강 금강 현장 집중호우로 그랜드캐니언 협곡 발생 금강을지키는사람들 6월 25~27일 조사 결과       공주 월송리 금강 둔치 대규모 유실, 공주 정안천 합류부 대규모 침식           공주 유구천 사면 호안블럭 붕괴, 공주 월송천 합류부 대규모 침식 금강을지키는사람들은 우기동안 대규모 준설과 정비사업으로 불안정하고 취약해진...

용신교에서 맹꽁이 알 관찰

25일 신나는자연학교가 비로 연기되면서 이병연선생님과 저는 3대하천 모니터링을 했죠~~ 비가 주적주적 내리는 아침, 신구교에서 만나 따뜻한 녹차 한모금 하고 출발했습니다. 신구교에서 출발하자마자 용신교에 근처에서 내렸습니다. 다리밑으로 내려가다가 갑자기 이병연선생님이 맹꽁이 소리가 들린다고 합니다. 빗소리와 함께 맹꽁이 우는 소리가 납니다. 한마리가 외롭게 "맹맹맹맹" 하고 웁니다ㅋ 우는 소리가 나는 용신교아래로 가니 풀숲에서 나는 맹꽁이 울음소리는 그치고 풀숲을 휙 보는...

생명의 강을 느끼다! 환경영화제

지난 6월 25일(토) 오후 2시, 계룡문고 갤러리에서 환경영화제가 열렸습니다. 강에 대한 주제로 총 7편의 다큐멘터리가 연속상영되었습니다. 70대 어르신에서부터 6살 어린이, 멀리 논산에서부터 바로 옆 계룡문고에서 책을 보러왔다가 영화제에 참가한 분들까지 약 50여명의 시민, 회원분들이 함께 하셨습니다. 진행은 심현정 간사가 맡아 금강현장활동과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현재 금강의 상황을 설명하고 각 작품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하였습니다. 영화제의 시작은 공사이전의 아름다운 강을...

본격적인 장마, 대전의 3대하천 안전한가?

전국적으로 5일째 내리고 있는 비는 대전에만 6월 25일 오후8시 기준으로 330mm의 비가 왔다고 합니다. 또 현재 제5호 태풍 메아리가 북상중에 있어 27일(월)까지 태풍의 영향으로 강풍과 시간당 30mm의 비가 더 내릴 것이라고 예보 하고 있습니다. 3개의 하천이 도심을 흐르고 있는 대전! 과연 우기의 대전 3대하천은 안전한지 25일 토요일 하루동안 생태하천해설사 이병연 선생님과 대전의 3대하천을 모니터링해 보았습니다. 갑천은 하류서부터 상류까지 금강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충청이남집중호우] 긴급! 금강현장조사

충청이남집중호우] 긴급! 금강현장조사 글/ 녹색사회국 심현정 동영상 더보러 가기- 집중호우 금강현장, 대교천(연기군 남면) 우기에 접어들어 충청지역에 집중호우가 예보된 가운데, 비가 오기 전인 21일부터 24일까지 금강현장을 둘러보았다. 이전 5월 27일 금강시민공동조사단과 함께 우기대비 지천조사를 한 결과, 국토해양부에서는 5월까지 하상유지공 공사를 모두 마치겠다고 계획되어 있음에도 29곳의 지천들 중 하상유지공이 미설치된 곳이 13곳, 설치된 곳이 8곳(이 중 유실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