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을 다시 녹조로 뒤덮으려는가 환경부는 세종보, 공주보 재가동 즉각 중단하라! 금강을 비롯한 4대강에 자유를 허하라! 세종보와 공주보 재가동 중단과 물정책 정상화를 촉구하면서 지난 4월 말 시작했던 천막 농성이 이제 108일 차를 맞았다. 환경부가 2024년 5월을 목표로 재가동을 추진하던 세종보는 여전히 개방되어 있고, 금강은 힘차게 흐르고 있다. 그러나 개방되어 흐르는 세종보와는 달리, 하굿둑에 가로막혀 있는 금강 하구는 녹조가 창궐했다. 그 지긋지긋한...
메인-공지
907 대전기후정의행진에 함께해요!!!
2019년 9월 21일 시작된 대중들의 기후행동은 4년의 시간을 넘어, 2023년 923 기후정의행진을 통해 대중의 절박성과 의지의 강력함을 확인했습니다. 그 해 2023년 414 기후정의파업을 비롯하여 각 지역에서 크고 작은 기후행동이 이어졌고, 수많은 사회 의제들이 기후위기와의 강한 연결성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여전히 답답한 현실, 9월 7일 기후정의행진으로 길을 냅시다! 이제 기후정의운동은 이윤을 위한 에너지 체제에 맞서, 핵발전과 화석연료로부터 공공재생에너지로...
4대강 녹조 현황 및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포럼 및 규탄대회에 함께해요!
♥ 별도의 신청 없이 편하게 오시면 됩니다.
[기자회견] 세종보 재가동 중단 및 물정책 정상화 촉구 천막 농성 100일 차 4대강 재자연화 철회, 댐 추가 건설, 하천 준설로 점철된 국가물정책 윤석열 정부는 당장 물정책 역행을 중단하고 정상화하라
세종보 재가동 중단 및 물정책 정상화 촉구 천막 농성 100일 차 4대강 재자연화 철회, 댐 추가 건설, 하천 준설로 점철된 국가물정책 윤석열 정부는 당장 물정책 역행을 중단하고 정상화하라 2017년 11월, 세종보 수문을 개방하고 만 6년 반을 훌쩍 지낸 금강 변에는 자갈밭과 모래섬이 회복됐다. 자갈밭 위 둥지에서 알로 만난 흰목물떼새는 알을 깨도 나온 지도 한참이, 지나 이제는 유아티를 벗고 제법 모양있게 주변을 날아다닌다. 농성장 인근에는 올해 태어난...
2024년 7월 후원자 명단
녹색을 지키고 계신 아름다운 지구인님들의 7월 회비 납부 현황입니다. Ctrl + F 키를 누르고 내 이름을 찾아보세요. 삶의 모든 순간을 녹색과 함께하기로 한 평생회원! 강남석 권태집 김명수 김진욱⋅홍영미 방숭덕 오순섭 이수원 이종애 조영호 2024년 7월 회비를 보내주신 분들입니다. 감사드려요. (주)신성이앤에스 (주)인더스토리 (주)파타고니아코리아 가성현 강경숙 강경식 강공자 강누리 강도영 강선주•조미현 강수돌 강승수 강신관 강신원...
[회원모임] 녹색크루의 비건 티파티_중구에서 함께해요!
참가신청 링크 >> https://forms.gle/gMWVrUGqLWVmQ9wy7
8월 녹색평론 읽기 모임 참가자 모집! 📔
세종보 천막농성장 100일 투쟁 문화제에 초대합니다!
[성명] 환경부의 무능함을 자임하는 기후대응댐 후보지 발표를 규탄한다.
환경부의 무능함을 자임하는 기후대응댐 후보지 발표를 규탄한다. 오늘(7/30), 환경부는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기후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국가 전략산업의 미래 용수 수요 등을 뒷받침하겠다는 설명이다. 결론적으로 평하자면 이번 발표는 기후위기 대응과 적응을 핑계로 4대강 사업을 정당화하고 이를 중심에 둔 물 관리 정책으로 회귀하겠다는 선언이다. 먼저 14곳 댐을 기후대응댐으로 명명하면서 유의미한 과학적 논거들을 완전히...
[보도자료]2024 제14회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 대전지역 38지점 확인. 갑천국가습지에서 대규모 서식지 발견!
2024 제14회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 대전 도심 총 38지점에서 법적보호종 멸종위기 2급 맹꽁이 서식 확인! 갑천국가습지보호지역에서 대규모 맹꽁이 서식지 발견! 갑천국가습지보호지역 갑천~관저천 합수부 지점 일대 대규모 맹꽁이 서식지 발견 우성이산 배수로에서 확인된 멸종위기 2급 맹꽁이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 6월 1일부터 7월 7일까지 ‘2024년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대전시민 및 회원 52명이 대전지역에서 맹꽁이 서식이 확인됐던 51지점을...
[성명] 단순한 준설/벌목으로 기후재난 홍수 대비할 수 없다! 도시개발 패러다임 바꾸고 기후재난 대비하라
단순한 준설/벌목으로 기후재난 홍수 대비할 수 없다! 도시개발의 패러다임 바꾸고 기후재난에 대비하라 최근 평촌산업단지 부지 공사로 인해 제방이 붕괴되어 홍수가 났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평촌산업단지가 조성되기 전, 농경지가 감당해 왔던 홍수량이 하천에 유입되면서 발생한 인재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허황된 것이 아니다. 이번 강우로 서남부지역의 아파트도 침수되어 물이 넘쳤다. 이곳은 2011년에도 물에 넘친 적이 있다. 당시에 관통도로와 도시개발공사가...
대덕구에서 만난 녹색크루!
매월 회원들을 만나 대전의 각 구별 환경이슈와 녹색연합의 대응 활동을 이야기는 나누는 녹색크루의 비건 파티! 7월에는 대덕구 오정근린공원의 개발과 생태학살을 주제로 만났습니다. 대화동과 오정동에 걸쳐 있는 오정근린공원은 물놀이장과 콘크리트 무장애길 설치 등으로 현재 많은 나무가 베어졌고, 그로 인해 그곳에 살던 야생동물도 집을 잃은 상태입니다. 대화동에 거주하는 허연 운영위원이 프레젠터로 함께하며 해당 사안을 참여한 회원들에게 설명해 주시고, 녹색연합도 함께 성명을 내며...
![[기자회견] 금강과 4대강에 자유를 허하라!](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4/08/20240814_081409-400x250.jpg)


![[기자회견] 세종보 재가동 중단 및 물정책 정상화 촉구 천막 농성 100일 차 4대강 재자연화 철회, 댐 추가 건설, 하천 준설로 점철된 국가물정책 윤석열 정부는 당장 물정책 역행을 중단하고 정상화하라](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4/08/20240806_023320-400x250.jpg)

![[회원모임] 녹색크루의 비건 티파티_중구에서 함께해요!](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4/08/20240801_073330-400x250.png)


![[성명] 환경부의 무능함을 자임하는 기후대응댐 후보지 발표를 규탄한다.](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4/07/20240731_045949-400x250.png)
![[보도자료]2024 제14회 맹꽁이 생태 모니터링 결과, 대전지역 38지점 확인. 갑천국가습지에서 대규모 서식지 발견!](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4/07/20240729_061339-400x250.jpg)
![[성명] 단순한 준설/벌목으로 기후재난 홍수 대비할 수 없다! 도시개발 패러다임 바꾸고 기후재난 대비하라](https://greendaejeon.org/wp-content/uploads/sites/9/2024/07/IMG_20240723_133828_540-40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