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생태문화해설사

갑천의 식물

(도입) - 노루벌의 어원을 안다 - 노루벌에서 갑천과 구봉산, 노루벌의 들판이 서로 조화를 이 룬 아름다움을 감상해본다. (전개) - 갑천(노루벌)에는 어떤 식물이 있는지 말해본다. - 식물의 다양함이 왜 필요한지 알아본다. - 물을 좋아하는 식물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본다 수생식물(물을 좋아하는 식물) 1. 부엽식물(잎만 물위에 뜨는 식물) 연꽃, 수련,마름, 가래, 네가래,어리연꼬, 왜개연꽃등은 물위 떠있는 잎의 윗면에 공기를 흡수하는 기공이 있다. 대부분 잎맥,...

구봉산

10/29:구봉산에 보름달 보러가서 1)이은숙 선생님 작은아드님(잘 생겼습니다.) 2)심현숙 선생님

유등천을 살립시다 / 2002년 11월

2002년 11월에 대전시 홈페이지 '대전시에 바란다'에 올린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유등천은 사실 유천(柳川)이다. '버드나무가 많은 내'란 뜻이다. 나도 어릴적 유등천 주변에 살았는데 유등천 주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유천냇가라고 많이 불렀다. 예전에는 애천이라고도 했다고 하고 창계라고 불렀다 한다. 작년과 지금의 유등천은 많이 달라 보인다. 우선 작년에는 9월에서 10월 사이에 하천을 정비한다고 대전시에서 유등천 바닥을 논바닥처럼 온통 갈아 엎었었다. 이후 시민들로...

옛 시에 갑천에서 흰 갈매기를 보았다네요…

제 목 : 옛 시에 갑천에서 흰 갈매기를 보았다네요... 대전관련 기록을 뒤적이다 대전에 살았던 옛 선인들이 그들의 시에 남긴 새에 관한 기록을 찾게 되었습니다. 재미도 있고 흥미 있는 내용이 있어 함께 나누려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조선환여승람(주1. 1910∼1937년까지의 인문지리 현황을 담은 국내 최대의 지리서)에 대전팔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1. 계족소우(鷄足疎雨) : 계족산에 성근비 2. 보문초월(寶文初月) : 보문산의 초생달 3. 구봉촉석(九峯矗石) :...

사진이요

사진게시판에 사진 작업해 올려 놓았습니다 몇시간을 공들였나 눈이 빠질려하네요 ^^ 세월들이 많이 흘른 흔적이 많아서 한참을 화장시켜야 했어요 맘에 안들어도 난 몰라요 맘에 드신다면 다운받아 활용해 보세요 최선을...

한가지 제안

선생님들께 도움이 될 것 같은 한가지 제안을 해봅니다. 여러사람들을 모아놓고 이야기하기는 정말 쉽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그 주제를 벗어나지 않게 이야기를 전개해가기란 더욱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엉뚱한 이야기를 하고 있거나 전혀 관계도 없는 이야기를 할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말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도 많고요. 그래서 선생님들께 제안하고 싶은 것은 매번 모일때 마다 3분 말하기를 돌라가면서 해보는...

5분 해설

> 교 안 > 갑천생태문화해설사 김 미 희 > 주제 : 갑천과 나 > 장소 : 노루벌 (대전시 흑석동) > 대상 : 중학교 1학년생 > > 여러분, 만나서 반갑습니다. > 이곳의 지명은 노루벌이라고 합니다. > 이 시냇물은 대둔산에서 시작하여 이곳 노루벌을 지나 엑스포 > 앞을 통과하여 금강으로 흐르는 국가하천인 갑천입니다. > 저쪽으로 보이는 산은 구봉산이고요. > > 여러분은 이곳에서 무엇을 볼 수 있나요? > - 학생들의 발언 - > 예. 그렇지요. 산도 보이고 하늘도...

5분 해설

교 안 주제 : 갑천과 나 갑천생태문화해설사 김 미 희 장소 : 노루벌 (대전시 흑석동) 대상 : 중학교 1학년생 여러분, 만나서 반갑습니다. 이곳의 지명은 노루벌이라고 합니다. 이 시냇물은 대둔산에서 시작하여 이곳 노루벌을 지나 엑스포 앞을 통과하여 금강으로 흐르는 국가하천인 갑천입니다. 저쪽으로 보이는 산은 구봉산이고요. 여러분은 이곳에서 무엇을 볼 수 있나요? - 학생들의 발언 - 예. 그렇지요. 산도 보이고 하늘도 보이고 시냇물을 볼 수 있지 요. 이 물속을 자세히...

지난번에 말씀드린 공주대학교 이재영교수님이 운영하시는 웹싸

지난번에 잠시 말씀드린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의 이재영교수님께서 운영하시는 환경교육을 위한 웹싸이트입니다. 선생님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여러가지 내용들이 있습니다. 필요한 내용은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웹싸이트 주소는 www.keed.net 입니다. 자주 들리셔서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