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싸게팔아요, 똑똑해 지는책~ 환경도서 대방출!

읽으면 똑똑해지는 녹색연합 환경도서를 판매합니다! 신간도서는 30% 할인, 다른 책들도 반값보다 싸게 드릴게요~ 구매하고 싶으시다고요? 그럼 녹색연합으로 연락 주세요! 전화   253-3241 (담당: 김민성 활동가) 이메일  m813813@greenkorea.org 입금계좌 하나은행 601-910002-36204 *이름과 연락처, 원하시는 도서명을 꼭 알려주세요! *직접 수령 가능, 2만원 이상 주문시 무료배송...

탈핵을 말하고言 함께 실천하는行 탈핵WE인의 네번째 소식!

탈핵을 위한 노력, 네번째 이야기! 요번에는 어떤 소식이 담겼을까~ 궁금하시죠? 네번째 언행일치에서는 방사능 물질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전하고 있습니다. 방사능 물질인 ‘세슘’은 가장 위험하며 오~래 지속되기로 유명하죠. 인간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결코 건강을 유지할 수 없는데요. 백내장, 갑상선암, 폐렴, 백혈병 등 무시무시한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2011년 3월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은 우리에게 커다란 공포를 안겨주었는데요. 방사능 누출로 먹거리와...

녹색순례 함께 떠나요!

                 2014년 17번째 녹색순례 "강이 바라는 바다, 강이 그리는 바다 강강순례" 강은 산에서 시작해 바다로 흘러갑니다. 하지만 지금 강줄기 곳곳이 끊어지고 막혀 있습니다. 4대강사업은 재앙이었습니다. 댐과 하구둑도 강의 길목을 가로막은 장본인입니다. 산에서 바다까지, 강은 막힘없이 흘러야 합니다. 그것이...

회원소통위원회 첫모임!

4월 9일, 2014년 새로운 회원소모임 '회원소통위원회' 첫 모임이 있었습니다. 첫 모임은 김은정 회원, 추명구 회원, 양흥모 사무처장, 김선경 간사가 참석해 이 날 회원운동 현황보고, 위원 활동방향, 향후일정 논의가 있었습니다. 회의를 마치고 제철맞은 쭈꾸미 집에서 신나는 뒷풀이 시간도 가졌답니다! 소통위원회에 오시면 항상 즐거운 뒷풀이 시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뒷풀이를 통한 회원간의 소통의 시간도 빼놓을 수 없지요~ 회원소통위원회는 회원과 활동가가 함께 만들어가는...

4월 4일, 종이 한장 아끼면 선물을 드려요

         4월 4일 종이 안쓰는 날, 4월 5일 식목일을 맞아 이번 한 주는 '종이 안쓰는 주'로 지내보면 어떨까요? 종이 한장 덜 쓰는것, 어렵지 않아요! 녹색연합이 제안하는 생활실천방법! (작은것이 아름답다 발췌) • 잘 보지 않는 신문은 구독하지 않고 인터넷이나 도서관, 관공서에서 돌려봅니다. • 주방용 종이 대신 행주를 씁니다. • 화장지 사용 절반으로...

[성명서]공주 공산성을 두 번 무너뜨리는 공주시, 충청남도, 문화재청 그리고 일부 언론

140403_[성명서]공산성붕괴원인언론의추측성보도.hwp 공주 공산성을 두 번 무너뜨리는 공주시, 충청남도, 문화재청 그리고 일부 언론 일부 언론 “공산성 붕괴 4대강사업과 관련 없다” 추측성 보도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 위해 서둘러 복구 지난 4월 1일 공주시 충남도, 문화재청은 공산성(사적 제12호) 붕괴 성벽구간 발굴조사 결과 현장설명회에서 백제 시대 판축성벽(版築城壁·판으로 틀을 만들어 토사를 교대로 펴서 마치 시루떡과 같이 지반을 단단히 만든 성벽) 확인 결과를...

전국녹색연합 양서류 공동 모니터링

전국녹색연합이 함께하는 양서류 공동사업의 첫 번째 워크샵을 인천에서 했습니다. 각 지역 녹색연합에서 하는 양서류 모니터링과 보존활동에 대해서 공유하고 공동으로 같이 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워크샵에는 본부, 대전, 인천, 광주전남에서 양서류 보존운동을 담당하고 있는 활동가 총 7명이 모여 진행 했습니다. 오후 1시에 계양산역에 모여 인천녹색연합에서 두꺼비 모니터링을 하는 계양산으로 가서 첫 번째 워크샵 프로그램인 공동 모니터링을...

탈핵을 말하고言 함께 실천하는行 탈핵WE인의 세번째 소식!

밥맛이 도는 봄이 찾아왔습니다. 과식을 삼가고 밥량도 줄이셔서 몸은 가볍게 전기를 줄이고 통장은 더 두텁게 하셔야죠~ 녹색회원절전소 언행일치, 세번째 소식을 전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는 우리가 쓰는 전기의 가격 비교표가 담겨있습니다. OECD국가 평균보다 절반 가량 저렴한 한국의 전기세. 싸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니 상관없다고요? 글쎄요. 핵 발전소의 처리비용을 보시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금방 아실 수 있을꺼에요. 뉴스레터에는 생활 속에서 전기를 아끼는 또 한가지 방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