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에 사시는 박상은 회원님께서 사무실에 달콤한 간식들을 가득 보내주셨습니다. 이 간식들 먹고, 백두산 호랑이 기운보다 몇배는 더 솟아올라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맛있게 잘 먹겠습니다....
블로그
11월 트래킹 알림
신청하기
11월 자연친구 수업안내
▲위 수업장소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신나는자연학교 11월 자연친구 수업안내 유난히 따뜻한 요즘입니다. 그래서 인지 반가운 손님 겨울철새가 아직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원래 11월 수업은 전민동 엑스포아파트 앞 탑립돌보에서 철새관찰이었으나 예년보다 철새가 많이 찾지 않아 다음달 수업과 일정을 부득이하게 변경하오니 양해 바랍니다^^ 철새관찰은 12월에 진행되며 이번달에는 월평공원갑천자연하천구간에서 야생동물 흔적찾기를 진행합니다! ● 일시 :...
11월 갑천트래킹
지난 11월 6일(일)에 다녀온 갑천트래킹 사진입니다^^ * 녹색연합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12-20 10:39)
11월 갑천트래킹
지난 11월 6일(일)에 다녀온 갑천트래킹 사진입니다^^
알림) 대전청소년환경대상 예선전
대전지역 청소년들의 팔딱팔딱 뛰는 아이디어가 넘치는 대전청소년환경대상 예선전! 치열했던 서류심사를 통과한 예선진출 24팀의 아이디어가 공개됩니다. 관심있는 대전 시민과 청소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Coming soon~!!! * 일시 : 2011년 11월 12일 토요일 14시 - 18시 * 장소 : 유성문화원 2층 다목적실 * 진행내용 : 예선진출 24팀의 아이디어 발표/ 결선진출 12팀 선발/ 멘토 선정 및 결선미션 공개 * 문의 : 대전충남녹색연합 녹색사회국...
11월, 갑천누리길 걷다
지난 11월 6일(일) 회원들과 함께 갑천누리길을 걸었습니다. 가수원교 아래부터 증촌마을까지 도란도란 이야기꽃 피우며, 걷는 사람으로서 느끼는 누리길의 모습, 바꿔야 할 것등을 나누다보니 하루가 금방! 오는 길은 26번 버스를 타고, 버스에서는 듣기 어려운 오보에 연주(?)를 들으며 하루를 마무리 했지요. 갑천변은 가을이 깊게 물들어 있었습니다. 이 날 함께 해 주신 최수경, 조덕희, 송태영, 이병연, 육지만, 정복희, 정동국 회원님! 즐거웠습니다~ 11월 셋째주에는...
전주천 탐방
10월 18일 전주천탐방사진 늦게 올려요. 우린 언제 이런 하천을 만날 수 있을까요? 노력해야하는 분명한 이유를 알게된 하루였습니다.
구제역 현장조사 – 보령시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 11월 4일(금) 보령의 구제역 매몰지 실태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보령신문과 함께 매몰지 관리실태와 관련 방지대책이 개선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현장조사와 정책제안을 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고, 첫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날 조사는 보령시 천북면 장은리(25,069두 매몰), 하만리(1,530두 매몰), 학성리(650두 매몰) 세 곳을 샘플조사 했고, 보령시 농정과 공무원과 보령지역 구제역 관련 보도를 해 온 보령신문 기자가 동행했다....
발표) 제 1회 대전청소년환경대상 예선진출팀
지난 10월 15일 설명회 이후로 17일부터 30일까지 대전청소년환경대상 아이디어 공모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제1회 대전청소년환경대상 서류심사결과를 발표합니다. 설명회를 한 후에 빡빡한 일정과 내용에 혹시라도 다들 중도포기할까 걱정했었는데, 많은 분들이 응모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대전지역의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고민하여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응모해준 여러분들은 이미 멋진 미래세대입니다. 혹여 이번 심사에서 탈락한 학생들도 낙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기후변화시대, 한국의 양서류 보전전략 – 워크샵 안내
양서류보존네트워크 정기워크샵이 다음주 토요일에 있습니다. 사무처는 당일에 환경대상예선전이 있어 참석하기 어렵고, 우리 선생님들이라도 참석하셔서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아 안내 해드립니다^^ 이날 또, 우리 단체 문광연 선생님께서 올해 진행한 맹꽁이모니터링 결과발표도 합니다!! 많은 참여...
11월 청년모임 : 가구설계하기
11월 첫 청년모임은 가구 설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설계라고 하기엔 엉성하지만, 만들고 싶은 가구의 모양을 그려서 나무가 얼마나 필요한지 산출해내는 법을 배웠지요. 두시간을 머리 짜내며 그리고 나무를 산출해낸 후 선생님께 자랑스레 발표했더니! 선생님 말씀, 박은영 것은 10분이면 만들고, 조선진 것은 15분이면 만들고 유지현 것은 5분이면 만든다는 말을 무표정하게 뱉으셨죠. 15분 내외의 작품을 두 시간동안 고민했다는... 다음 모임에는 더 심도깊은 설계를 해보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