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보 수몰 예정지 멸종위기종 ‘새 둥지’ 수두룩… 총 100여곳
‘새들의 천국’, 생태학살터 만드는 세종보–공주보 담수 중단하라
합강리 물떼새 번식조사 결과에 따른 입장 발표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은 지난 4월 29일 세종보 상류 물떼새류 번식지 현장모니터링을 진행했다. 세종보 상류에 퇴적된 모래톱 2개지역과 하중도 2개지역을 조사했다.
총 10명의 시민과학자들이 참여하여 번식을 준비 중인 둥지, 알을 낳은 둥지, 성체 수를 조사했다. 결과 번식을 준비 중인 둥지 23개와 알을 낳은 둥지 3개, 성체 28개체를 확인했다. 성체 중 5개체는 흰목물떼새였으며 23개체는 꼬마물떼새였다.
본격적인 번식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수의 물떼새류가 번식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격적인 번식철인 5월 중순이 되면 개체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이번 4개 지역의 150,278㎥ 면적은 전체 모래톱과 하중도 면적 611,056㎥의 24.5% 정도로 추정된다. 단순히 면적만 대비해도 모니터링 개체의 4배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면적 대비로 본다면 둥지 수를 104개 이상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여기에 계절적인 요인까지 감안하면 개체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이런 조사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세종보 상류는 물떼새류의 집단번식지에 가깝다. 4대강 사업으로 담수 된 이후 사라졌던 물떼새가 수문개방 이후 모래톱과 하중도가 형성되면서 다시 터를 제대로 잡은 것이다.
이렇게 터를 잡은 꼬마물떼새와 흰목물떼새에게 세종보 재가동은 재앙이다.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현재 담수를 위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종보의 고질적인 문제인 유압실린더 고장 소식도 들린다. 아무리 고친다고 해도 여전히 고물보인 것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고 세종보는 해체가 답일 수밖에 없다.
결국 재가동이 진행되면 상류에 번식한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는 수장될 수밖에 없다. 둥지별로 약 4개의 알을 낳는 것을 감안하면 최소 104개체 최대 약 416개체(면적대비 추산)가, 최대 416마리의 생명이 익사하게 되는 것이다.
세종보 상류에 넓게 형성된 하중도에 물떼새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바삐 오가며 알을 낳고 있다. 하지만 5월 1일 밤부터 불어난 강물과 세종보 재가동 공사 등으로 물떼새 알들이 위협받고 있다. 물에 잠긴 알 주변으로 부모 물떼새들이 애달픈 울음으로 지켜보고 있다.
그야말로 생태학살이다. 환경을 최일선에서 지켜야 할 환경부가 앞장서서 생태학살을 벌이는 것이다. 흰목물떼새는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등록된 법적보호종이다. 보호종을 지정한 주체가 보호종을 학살하는 자기부정을 하는 격이다. 세종보 재가동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
이에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은 세종보와 공주보 재가동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금강 영산강 보 처리방안과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을 원상복구하라. 한강, 낙동강 수문을 개방하고 보 처리방안을 마련하라. 이를 무시한 채 담수를 강행한다면, 온 시민의 힘을 모아 강력하게 투쟁할 것이다. 국민의 민의를 제대로 받아들일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2024년 5월 2일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