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천

[취재요청]대전충남녹색연합-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 ‘2014 BLUE SKY 프로젝트’ 협약식

미래세대에게 푸른하늘을> 환경단체와 기업의 장기 환경프로젝트 대전충남녹색연합 - 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 10년째 협력사업(Since 2005) 4월22일 지구의날 기념, ‘2014 BLUE SKY 프로젝트’ 협약식 4월21일 월요일 오전11시, 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 대회의실 진행 태양지공 프로젝트 4호 개설, 마을형 기후변화 대안현장 만들기(주민 절전소) 시민대기오염모니터링, 제4회 청소년환경대상, 청소년 해외환경연수 등   올해로 10년째를 맞는...

[성명서]공주 공산성을 두 번 무너뜨리는 공주시, 충청남도, 문화재청 그리고 일부 언론

140403_[성명서]공산성붕괴원인언론의추측성보도.hwp 공주 공산성을 두 번 무너뜨리는 공주시, 충청남도, 문화재청 그리고 일부 언론 일부 언론 “공산성 붕괴 4대강사업과 관련 없다” 추측성 보도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 위해 서둘러 복구 지난 4월 1일 공주시 충남도, 문화재청은 공산성(사적 제12호) 붕괴 성벽구간 발굴조사 결과 현장설명회에서 백제 시대 판축성벽(版築城壁·판으로 틀을 만들어 토사를 교대로 펴서 마치 시루떡과 같이 지반을 단단히 만든 성벽) 확인 결과를...

[기자회견문]6·4 지방선거는 대전시민이 주인 되는 날임을 선언한다!

20140326_유권자네트워크_발족_기자회견_자료.hwp 6·4 지방선거는 대전시민이 주인 되는 날임을 선언한다! 지방자치 2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의 지방자치는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는 외면한 채 소수 기득권의 전유물로 전락했다. 뿐만 아니라 막장으로 치닫는 중앙정치를 아무런 죄책감 없이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이 우리 지방자치의 현실이다. 시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지방자치는 요원하기만하다. 자치단체장의 40%는 여전히 부패와 선거법 위반으로 사법처리 될...

[보도자료]서천군, 부여군 야생동식물보호구역 해제, 법적보호종 생존 위기

140320_[성명서]야생동물보호구역해제_성명.hwp 법적보호종 야생동물 쫓아내는 서천군과 부여군 금강하류 야생동식물보호구역 해제 서식처 훼손, 생태계 파괴 천연기념물 수달, 황조롱이 멸종위기종 삵, 고라니 등 생존 위협 바야흐로 봄, 뭇 생명이 깨어나는 3월이다. 하지만 금강 하류의 야생동식물들은 최악의 봄을 맞이하고 있다. 자치단체의 규제 철폐와 개발사업 등으로 야생동식물 서식처가 무참히 훼손되거나 사라지고 있다. 국가대표 갈대밭인 서천 신성리 갈대밭은 최근 갈대 생육...

[취재요청서]4대강 재자연화를 위한 한·독·일 전문가 금강 현장방문

140319_[취재요청]3월한독일전문가금강현장조사.hwp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한 한·독·일 전문가 금강 현장방문 ◆ 일시 : 2014년 3월 21일(금) 오후 1시 - 6시 ◆ 장소 : 금강 공주보, 백제보, 청양 지천 하류, 부여 호암교 등 ◆ 참여 :   ⓵해외전문가 : Hans Bernhart 교수(독일 칼스루에 대학교)...

[공동성명]후쿠시마 3주기, 거꾸로 가는 박근혜 정부 원전 정책 1년

[녹색연합공동성명서]후쿠시마_핵사고_3주기.hwp                  후쿠시마 3주기, 거꾸로 가는 박근혜 정부 원전 정책 1년 원전 정책 꼭 닮은 일본과 한국,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일본이 불안하다.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이후 3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피난 생활을 하는 주민이 약...

[보도자료]세종시 금개구리 서식처 약30만평 원형보전 하다

보도자료_경칩_세종시_금개구리.hwp                  세종시 금개구리, 인간과 공존의 길을 열다 3월6일 경칩, 세종시 장남평야 금개구리 서식처 30만평 원형보전 국내 최대 생태습지공원, 자연생태공간, 도시농업의 장으로 마련   만물이 소생하는 경칩, 그중에서도 개구리가 가장 먼저 깨어난다는 경칩에...

[성명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개편안에 대한 입장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개편안에 대한 입장 2011년 3월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이후 전세계적으로 주민보호대책 강화와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 등 방사능방재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도 최근 비상계획구역 개편을 추진했다. 더불어 그동안 제외되었던 대전의 연구용 원자로에 대해서도 개편확대 요구를 수용하여 논의가 되었다. 그런데, 최근 원안위에서 기존 800m의 대전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