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403_[성명서]공산성붕괴원인언론의추측성보도.hwp
공주시, 충청남도, 문화재청 그리고 일부 언론
일부 언론 “공산성 붕괴 4대강사업과 관련 없다” 추측성 보도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 위해 서둘러 복구
지난 4월 1일 공주시 충남도, 문화재청은 공산성(사적 제12호) 붕괴 성벽구간 발굴조사 결과 현장설명회에서 백제 시대 판축성벽(版築城壁·판으로 틀을 만들어 토사를 교대로 펴서 마치 시루떡과 같이 지반을 단단히 만든 성벽) 확인 결과를 보고하였다.
공산성 붕괴라는 비참한 사고로 시작된 발굴 성과지만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발굴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발굴조사단과 일부 언론은 발굴 내용과 성과가 아닌 조사가 이루어지지도 않은 공산성 붕괴 원인 관련 섣부른 판단과 보도를 하고 있다. 4대강사업으로 공산성 앞 금강에서 진행된 대규모 준설로 인한 공산성 성벽 아래 지반 및 지하수 영향 등 공산성 붕괴 관련 원인규명 작업은 본격적으로 진행되지도 않았지만 일부 언론은 발굴조사단이 추정하는 부실보수 및 지형상의 이유를 근거로 “공산성 붕괴는 4대강사업과 연관성 없다”는 추측성 기사를 내고 있다.
공산성 붕괴 원인규명은 공주시, 충청남도, 문화재청이 앞으로 2년에 걸쳐 지질, 지반, 구조, 수리, 보존 등 5개 분야의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당연히 정확한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공산성 붕괴 원인에 대한 판단은 유보 할 수 밖에 없다.
더욱 심각한 것은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가 반쪽짜리라는 것이다. 공산성 성벽붕괴 문제가 불거졌을 당시 공주시는 사안의 심각성과 지역민들의 관심, 4대강 사업의 영향 논란 등을 고려하여 유적 관련 분야뿐만 아리라 토목과 지하수 등 다양한 검증을 위해 각 분야 전문가와 관련 활동을 해온 시민단체를 참여시키겠다고 약속했지만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공산성 붕괴와 관련한 모든 가능성과 영향을 검증하고 지역사회의 참여와 소통을 통해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조사를 하겠다고 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또한 공주시 충남도, 문화재청은 9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앞두고 서둘러 복원 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붕괴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복원을 한다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과연 이러한 행정이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에 긍정적적일까?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자치단체와 정부의 문화재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 능력과 보전의지를 인정받아야 한다. 과연 우리 정부와 자치단체는 유네스코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반문하고 싶다.
일례로 독일 동남부 드레스덴의 엘베 계곡이 자연원형과 경관, 19세기 낭만주의 건축이 있어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가 교량 하나를 건설하면서 “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크게 훼손한다”는 이유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서 취소된 사례가 있다.
공주시와 충남도, 문화재청은 공산성 붕괴 원인규명을 위한 제대로 된 조사를 실시하고 금강의 자연환경과 경관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는 공주보와 백제보 철거를 통한 금강의 재자연화 계획 수립 해야 한다. 그래야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전 세계와 우리 국민이 주목하고 있음을 공주시, 충남도, 문화재청은 명심해야 한다.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 : 이동규, 이상덕, 한원규, 정동국, 최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