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왜개연꽃을 그냥 부르면 않될 것같아 한번 올려봅니다. 원래 이꽃이 처음 발견 된곳은 일본의 오제라는 동네라고 합니다. 그래서 오제왜개연꽃이라 명명했다고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에 발견되었다고...
블로그
파랑새사진을 찾아서
파랑새사진을 찾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박주영'이라는 분의 사진을 한번 퍼옮깁니다.
느티나무
느티나무 포토샵작업
7월15일(금) 수고하셨습니다.
열띤 회의로 인하여 수량확보는 못했습니다. 1.자전거순례 왜개연꽃지:쉬리,돌마자 송준길묘소:각시붕어 어류채집:밀어 위왕산:모래무지,돌마자,각시붕어 자연하천구간:갈겨니,모래무지 2.7월22(금)일 공부방기행 참마자,참종개,모래무지,선임연구원 3.7월23(토)일 세이기행 돌마자,갈겨니 공부방과 세이는 야간곤충기행입니다. 조영호박사님이 수고해주실 것이구요. 학생들 단속과 참관수업을 위하여 참여하실 분들 댓글로...
아래사정에서의 즐거운 하루
며칠동안 내린 비로 갑천의 물은 흘려보내기에는 너무 아까운 옥같은 물이였다. 물이 불어 자칫 물에 휩쓸려 갈지도 모르기 때문에 아래사진을 보시면 회장님이 입고 계신 패션도 어류채집시 꼭 착용하는 것이...
7/13(수) 점심
"빨리 모여라. 닭 뜯자" "죽 배급이요."
7/13(수) 점심은?
점심 준비 완료됨과 동시에 샘들의 활동이 활발해 졌습니다. 두 샘들은 김치를 먹기 좋게 정리하고 계십니다.
7/13(수) 점심 준비
섹시 방장님이 조류 연구를 위해 혼신을 다하고 계십니다. 찜통에서 나는 김처럼 모락모락 이야기꽃을 피우시는 샘들.
7/13(수) 수업 활동 4
족대를 이용해 어류 채집을 한다. 물고기가 물을 만난듯 세분의 모습이 마냥 행복합니다.
7/13(수) 수업 활동 3
물 속에 있는 어류들의 동태를 살핀다.
7/13(수) 수업 활동 2
어항을 물 속에 고정시켜 둔다.
7/13(수) 수업 활동 1
갑천 상류에 서식하는 어류 연구를 위해 떡밥을 어항에 붙이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