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 환경부 정체성 포기한 김성환 장관 퇴진하라

2025년 8월 6일 | 금강/하천, 메인-공지, 연대활동

윤석열 4대강 부활에 면죄부 주는 이재명 정부

이재명의 4대강 재자연화는 윤석열 물내란 청산

환경부 정체성 포기한 김성환 장관을 해임하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은 그야말로 공허한 약속이 될 것인가.

지난 4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이재명 정부의 환경 부분 제1 공약인 4대강 재자연화를 공론화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8년 전, 역시 4대강 재자연화를 대통령 지시 사항으로 추진했던 문재인 정부 1년 차를 떠오르게 한다. 이것이 이재명 정부가 이야기한 효능감 있는 정책 추진인가.

문재인 정부는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물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4대강 재자연화를 논의했다. 금강 영산강의 보를 개방하고 3년 6개월간 모니터링을 진행했고, 전문가와 지역 주민, 행정을 포함한 논의 과정을 거쳤다. 2차례의 대국민 여론조사를 진행했고, 경제타당성 평가를 거쳤다. 환경부는 보 개방 이후 녹조가 개선되고 수생태계가 회복되었다는 결과보고서를 매년 발표했다. 그 모든 과정을 거쳐 장기간 개방한 금강 영산강의 보 처리방안을 확정했고, 그 결과가 반영된 10년 단위 물 분야 최상위 계획인 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그렇게 문재인 정부 5년이 지났고, 우리나라의 4대강에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이와 달리 윤석열의 물내란은 빠르고 강했다. 금강 영산강 보 처리방안 세부계획 수립 용역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뭉개더니, 단 15일, 요식적 논의 과정을 거쳐 취소했다. 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역시, 단 한 차례의 용역 없이 ‘자연성 회복’ 문구를 전체 삭제하고 ‘지속가능성 제고’라는 말로 바꿔치기했다. 첨부된 ‘우리 강 자연성 회복 구상’은 전체 삭제했다. 보 처리방안 취소 이후 단 30일 만이었다. 이후 우리나라의 물정책은 신규댐 건설, 하천 준설 등의 토건 사업으로 점철됐다. 문재인 정부 5년의 물정책 성과는 윤석열 정부 45일 만에 전부 무위로 돌아갔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의 ‘4대강 재자연화 공론화’ 발언은 문재인 정부 1년 차에나 가능한 소리다. 조선일보를 비롯한 보수 언론들, 그리고 4대강에 찬동하며 곡학아세하는 일부 전문가들과 이권에 사로잡혀 강의 주인이라도 되는 것처럼 권리를 주장하는 소수 기득권의 논리에 갇혀있는 것이다. 장관의 발언은 그들에게는 다시 뭉치라는 소집령과 다름없다. 윤석열 정부를 심판한 국민이 출범시킨 정부의 환경부가 윤석열의 물내란을 ‘역사’라고 칭하며 청산하지 못하는 것은 무능의 극치다.

문재인 정부 5년, 윤석열 물내란 3년, 우리 강은 너무 오래 버려졌다. 환경부 장관은 이제 또다시 5년이라는 시간을 허비할 결심을 밝혔다. 우리는 무능한 정부를 대신해 464일째 금강 변에 천막을 치고 4대강의 부활을 막아냈다. 환경부가 아닌 강을 사랑하고, 생명을 사랑하고, 자연과의 공존이 우리의 미래를 지켜낼 것이라고 믿는 국민이 지켜냈다.

국토의 보전과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을 이끌어가야 할 환경부 장관의 정체성 상실을 우리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효능감 있게 정책을 추진하겠다면서 윤석열 내란 척결의 소임을 부여받은 이재명 환경부의 배신을 용납할 수도 없다. 이재명 정부가 이행해야 할 4대강 재자연화는, 다름 아닌 윤석열 물내란의 청산이다.이재명 정부는 윤석열 물내란 청산이라는 국민의 뜻을 이행하는데 강력한 의지를 보여라.

우리는 윤석열 내란에 맞서 우리 강을 지킨 15,000 시민과 강의 생명의 이름으로 이재명 정부에 요구한다.

  1. 4대강 재자연화 의지가 없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해임하라.
  2. 윤석열의 보 처리방안 취소와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변경을 원상회복하고 즉각 이행하라.
  3. 금한승 차관을 비롯한 윤석열 물내란 부역자를 처벌하라.

 

202586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환경운동연합 부여환경연대 충남환경운동연합 천주교대전교구생태환경위원회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세종환경운동연합 전북환경운동연합 전북녹색연합 금강재자연화위원회 ()서천생태문화학교 공주참여자치시민연대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공주지회 공주민주단체협의회 공주시농민회 동학농민전쟁우금티기념사업회 성서대전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환경운동연합 구미YMCA 안동환경운동연합 구미낙동강공동체 영풍제련소저봉화군대책위원회 낙동강사랑환경보존회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생명평화아시아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환경과생명을지키는대구교사모임 전농경북도연맹 민주노총대구지역본부 팔거천지킴이 전교조대구지부 가톨릭여성회관 경남녹색당 김해YMCA ()경남생명의숲국민운동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마산YMCA 마산YWCA 진주YMCA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민주노총경남본부 사천환경운동연합 진주환경운동연합 참여와연대를위한함안시민연대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창녕환경운동연합 창원YMCA ()한국생태환경연구소 한살림경남 울산환경운동연합 태화강보존회 무거천생태모임 명정천지키기시민모임 울산강살리기네트워크 낙동강하구기수생태복원협의회 대천천네트워크 부산경남생태도시연구소 부산녹색연합 부산환경운동연합 습지와새들의친구 생명그물 온천천네트워크 학장천살리기시민모임 한국어촌사랑협회 목포환경운동연합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광주환경운동연합 ()시민생활환경회의 광주전남녹색연합 그린장성21협의회 ()생태도시담양21협의회 주암호보전협의회 나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목포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푸른무안21협의회 푸른영암21협의회 영산강살리기운동본부 늘푸른화순21협의회 남도에코센터 함평환경연합 숲사랑소년단 광주불교환경연대 한국멸종위기협회광주지부 나주생태환경포럼 화순하천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