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겨울눈 살펴보기

물푸레나무는 측아가 서로 마주나니까 이라고 했지요. 나무에 따라서 정아가 없는대신 측아가 줄기끝에 있어서 정아역할을 하는 경우를 라고 했습니다. 느티나무는 하는 가정아입니다. 수수꽃다리는 줄기끝에 동일한 크기의 동아 두개가 존재할 때 이를 하는 가정아라고 합니다. 는 동아가 파괴될 경우를 대비해 만든 것으로 측아가 정상적으로 성장할 경우에는 더이상 자라지않지만, 측아가 파괴되면 자라기 시작해 그 역할을 대신합니다. 나무의 준비성을 엿볼 수 있지요. 때죽나무에서 부아를 볼 수...

겨울눈 살펴보기

다음주 수업주제 맡았었지요. 안개로 수업일정이 변경되었다는 문자를 받고, 아침에 급하게 나뭇가지 그려서 수업문서 만들었습니다. 나누어드린 자료그림 가운데 좀더 수정 보완했으니 참고하세요. ---------------------------------------------------- 칠엽수는 끝끈한 점액물질로 동아를...

월평공원관통도로. 절대 반대!

토지개발공사가 올해 10월 착공예정인 월평공원 관통도로. 대전시 서구 내동안골네거리에서부터 유성구 도안동에 이르는3km 동서관통도로를 내기위하여 월평공원을 관통하는 470m의 4차선터널 왕복 2개와 도로를 위한 15m 교각, 그리고 갑천에 이르는 교량을 건설한다고 한다. 도솔산 정상에서 내려다보면 보이는 내동, 가장동, 태평동의 아파트숲.그 아파트숲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가면 원도심으로 갈 수 있다. 대전의 행정과 상업기능이 서구로 편중된 지금, 몇년동안 도심교통을 마비시키며...

2월 수업공지

이번 주 부터는 수업에 주제를 가지고 만나기로 했었죠 2월 일정입니다 2월 7일 : 철새관찰( 미호천과 금강합수부) 2월 14일 : 겨울눈 2월 21일 : 수피로 나무구분하기 2월 28일 : 철새관찰( 탑립돌보) 일정을 조금 바꾸었답니다 겨울 철새 떠나기전 한번 더 볼려구요 이번주는 2월 7일 월드컵경기장 9:30분 입니다. 준비물: 따뜻한물, 모자, 새도감,...

공존

자연하천은 만년교에 가까워지면서 도시형 하천으로 변해가고 있다. 슬그머니 둔치에 보도블럭이 깔린 산책로가 시작되더니 얼마못가 우레탄이 깔린 빨간 자전거도로가 긴 띠를 잇고 있다. 그늘을 만들어 다양한 생명종을 탄생시키는 왕버들의 행진을 밀어버리고, 획일적인 잔디를 깔아 오로지 인간을 위한 휴와 미의 소임만을 갖게하였다. 도시나 산지나 농지구간의 하천형태가 반드시 같을 수는 없다. 또 같아서도 안된다.도시구간의 하천을 자연형하천으로 복원하려 노력할 필요도 없다. 적정한...

징검다리

서구 월평공원과 유성구 도안동을 가로지르는 갑천의 자연하천구간은 시작점인 가수원교와 종착점인 만년교 사이에 친절한 징검다리를 유일하게 갖고있다. 들리는 말로는 월평공원아래 사는 목원대학교 학생이 산을 올라 내를 건너 들을 지나가면 금방가는 통학길을 버스몇번 갈아타고 가기힘들어 놔달라해서 놓았다나. 자연환경을 최대 보전하면서 편리를 위해 구조물을 놓을 것 같으면,자연이 만들도록 하던지, 자연의 형태를 읽고 흉내를 내던지, 변화를 생각했었으면,매년 여름마다 못건너는 다리가 되지는...

수초의 역할

때로는 홍수가 났을 때 하천변의 수초들이 물흐름을 방해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렇게 여름이면 미친년의 헝크러진 머리처럼 온갖 오물의 핀을 꼿고 있으니... 많은 물을 무조껀 빨리 빼내기 위하여 수초들 걸림돌로 여긴다면,하류는 물난리가 나도 된다는 말이 아닌가. 물은 흐르면서 사행부분에서는 힘이 감소하고, 수초 또한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니,오히려 홍수때 피해를 줄일 수 있는게 수초가 아닌가. 요즘은 보나 저류지, 습지 등으로 물을 되도록 가둬두는 장치나 공법들을...

자연하천구간

자연하천구간이 갖고있는 미지형은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빛바랜 갈대나 달뿌리풀, 물억새,갯버들,왕버들 같은 수변식물들은 이들이 자라고 있는 곳에 퇴적을 촉진시키기도하고, 침식을 막기도하여 사행천이나 하중도, 돌과 모래, 비오톱과 같은 미지형들을 만들어 나가는...

갈대둔치

넓은 갈대가 펼쳐진 추이대, 곧 육지와 물이 만나는 이곳은 수생식물이나 어류, 양서류, 육상곤충, 포유류, 조류 등 다양한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존재하고 종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연하천구간을 무대로 생활하는 새들의 둥지, 비행, 야생동물의 흔적, 곤충과 식물들의 발견을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더러, 실제, 이곳의 고유하고 독특한 환경에만 필수적으로 의존하며 서식하는 생물이 있지않은가. 천연기념물 제 454호인 갑천의 미호종개.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