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대청호 상류 농산물은 대청호보전운동본부 http://www.daecheong.or.kr 에서 확인하세요! 대청호 상류 로컬푸드를 먹는 일은 우리가 먹는 물을 살리고 우리 몸을 살리는 일입니다.
블로그
6월 정기모임
6월 정기모임이 있는날, 엠비씨 내 카페에서 최수경, 이병연, 우미정, 신옥영 선생님과 고지현 활동가가 모였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김경옥, 이혜영, 장선영 선생님은 불참. 이날 하반기 전국해설사 워크샵, 하천교육 프로그램(환경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 하고 상반기 활동평가와 하반기 활동에 대해 논의 했습니다. 우선 사진만 올리고, 회의내용은 해설사방에 올려놓을게용~ 사진은 병연쌤이 잠깐 화장실에 간 사이 찍어서 병연쌤이...
한눈에 보는 금강정비사업 실체! 공사 전 vs 공사 후 비교사진
한눈에 보는 금강정비사업 실체 공사 전 vs 공사 후 비교사진 금강의 변화가 한 눈에 대규모 준설로 습지와 모래톱이 사라진 자리에 직선화된 인공수로만 남아 4대강사업의 완공을 앞둔 2012년 봄,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녹색연합은 강 사진기록가 박용훈씨와 함께, 4대강사업 이전과 이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비교사진 촬영을 진행하였다. 2009년 말부터 시작된 약 3년간의 대규모 토건사업은 전국의 4대강의 모습을 완전히 변모시켰다. 이번에 촬영한...
[보도]한눈에 보는 금강정비사업 실체, 공사 전 VS 공사 후 비교사진
[0628]_금강정비사업_공사전후_비교사진.hwp 한눈에 보는 금강정비사업 실체 공사 전 vs 공사 후 비교사진 금강의 변화가 한 눈에 대규모 준설로 습지와 모래톱이 사라진 자리에 직선화된 인공수로만 남아 4대강사업의 완공을 앞둔 2012년 봄,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녹색연합은 강 사진기록가 박용훈씨와 함께, 4대강사업 이전과 이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비교사진 촬영을 진행하였다. 2009년 말부터 시작된 약 3년간의 대규모 토건사업은 전국의...
대전시청 승진 회원 축하
이원종 회원님이 건설관리본부장으로 한선희 회원님이 정책기획관으로 승진하셨습니다. 정무호 회원님이 유성구에서 도시주택국 도시디자인과장으로 옮기셨습니다. 녹색행정 기대합니다....
2012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시작을 내딛다!
2012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시작을 내딛다! 글.사진/ 녹색사회국 심현정 2012년 6월 27일(수) 오전 11시 중구 중촌동 한국가스공사충청지역본부 2층 회의실에서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 충청지역본부의 블루스카이프로젝트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8년째 진행하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알차지고 있는 블루스카이프로젝트. 이번 협약식에도 우리 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 뿐만 아니라 올해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할 마을어린이도서관 분들도 참석했습니다. 해뜰마을어린이도서관의 최순예...
2012 블루스카이프로젝트 협약식
6월 27일(수) 오전 11시 한국가스공사충청지역본부 2층 회의실에서 2012 블루스카이프로젝트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올해로 8년째 진행하고 있으며, 해뜰마을어린이도서관, 짜장마을어린이도서관, 모퉁이마을어린이도서관에서도 함께 참여하여 자리를 꽉...
일본양서류 전문가 사무처 방문 선물
한일 양서류 교류회로 한국을 방문한 일본 양서류 전문가들이 지난 6월 23일 사무처를 방문했습니다. 이날 사무처에 가와카미 요이치 (도쿄 도롱뇽연구회 사무국장), 구보 히로아키 (사토야마 보존 NPO 야마시카 야토 모임) 미타라이 노조무 (오우메자연사연구그룹 대표)님이 방문해서 개구리가 그려진 손수건, 일본 멸종위기 곤충도감, 편지지, 관찰통을 선물로...
훌륭한 어린이 출판사 웃는돌고래
어린이책 전문 출판사 김단비 편집국장이 최근 신간 '누가 우리 아빠좀 말려줘요!', '어린이먹을거리구출대작전' 등 어린이환경책과 엽서를 잔뜩 보내왔습니다. 마을어린이도서관과 함께 하는 태양지공프로젝트와 마을절전소 운동하며 어린이들과 같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웃는돌고래 좀 짱인듯! 훌륭한 출판사, 훌륭한 편집국장님...
대전연대 민선5기 전반기 평가토론회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대전시 에너지 정책 전환 모색 시민토론회
6월 26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대전시 에너지 정책에 대한 시민토론회가 열렸습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이상덕 공동대표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에는 대전시의 에너지정책 전환을 모색해보는 자리로서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사례와 대전지역의 민·관 활동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이동규 공동대표가 좌장을 맡아 토론회 참가자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주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에너지기후변화정책연구소 이유진 정책위원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의...
[성명서]가뭄에 드러난 22조 4대강사업의 실체
전국 농경지 98%와 무관한 4대강사업 -가뭄에 드러난 22조 4대강사업의 실체 4대강 본류 취수, 전국 농경지의 2%에 불과 12억 톤 물 확보한 4대강사업, 가뭄 앞에 무용지물 4대강사업 이전도 본류 물 부족 없어 2012년 6월 26일 현재, 2달간 지속된 심각한 가뭄으로 많은 농민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물부족 해소를 이유로 추진했던 4대강사업이 현실에 닥친 가뭄 앞에서 무용지물이다. 완공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4대강사업의 실효성과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