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동의 없는 시내버스 요금인상 부당하다!!

2006년 10월 25일 | 자연생태계


11월 1일부터 대전시 시내버스 요금이 평균 14.5% 인상 됩니다.
902대의 시내버스가 하루 381천명을 실어 날라 월평균 87억원을 벌어들이지만 관리직 사원 6명(중규모회사의 경우), 임원 2명을 비롯해 기사인건비와 정비공장 운영 등 버스회사경영에 필요한 경비가 월평균 108억원으로 매달 20억원(연간 240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대전시에서는 이번 요금인상 요인을 2004년 8월 1일 이후 단 한 차례도 요금을 인상하지 않은 점, 유가상승과 인금인상, 소비자 물가 상승 등을 인상 요인으로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준공영제를 실시하면서 대전시는 연간 240여억원의 적자를 매우기 위해 요금인상이라는 어이없는 결정을 한 것 입니다.
시내버스 적자는 두 가지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첫째, 구불구불하고 긴노선으로 제때 안오고 제시간에 데려다주지 않으며 난폭하고 불친절한 버스를 시민들이 타지 않아서 운송수입금이 줄어드는 문제와 둘째, 버스회사의 규모편차가 심해 전체적인 경영부실의 우려가 있는 문제입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면 시내버스 적자는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빠르고 편리하고 쾌적한 버스시스템 BRT(간선급행버스) 도입으로 버스승객을 늘려서 적자의 폭을 줄일수 있으며, 대전시내 주요 간선도로망을 따라 버스전용차로를 구축하고 급행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 노선을 통합하여 개편하고 저상버스를 도입하면 시내버스 서비스는 매우 좋아집니다.
더불어 버스회사의 운영부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영진단 및 서비스평가를 실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게 하는 한편 평가과정에 시민이 참여함으로써 재정적자 보전 이후 버스운영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재고할 수 있습니다.
대전시의 시내버스 적자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는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내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여성, 청소년, 도시서민들에게 <수효자 부담원칙>을 내세워 요금인상이라는 어이없는 결정에 우리단체를 비롯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에서는 시내버스 요금인상 거부운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청앞 1인 반대시위, 대전시 시내버스 요금 인상 철회 시민청원운동, 35만 시내버스 요금 인상 반대 거리서명에 회원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고질적인 적자에서 시내버스를 구출하는 7가지 방법]

1. 중앙 버스 전용차로 확보로 버스속도 향상
2.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버스노선 전면 개편
3. 급행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 환승체계 확립
4. 개별노선 입찰제 실시
5. 객관적 버스서비스 품질평가 실시
6. 표준운송원가 및 표준경영 모델 재산출 및 버스회사의 재무건전성 향상
7. 수익금 운영관리 투명화(수입금관리위원회 재구성 및 실질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