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모집]생태예술프로그램 '갑천을 기억하는 방법, 갑천동화'

[모집]생태예술프로그램 '갑천을 기억하는 방법, 갑천동화'

2019 생태예술프로그램  '갑천을 기억하는 방법, 갑천동화' *참가 신청하기 * 상기 일정 및 프로그램은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전교육은 필수로 참가하셔야 합니다!(5월 9일 예정)   대전의 생태놀이터 갑천-월평공원에서 가족과 함께 하는 문화예술탐험! 문화예술인과 소통하며 글 짓고, 그림 그리고, 채집하고, 관찰하며 생태감수성을 높이며 녹색가족만의 갑천을 기억하는 방법을 찾아보아요~! 한달에 한 번, 가족들과 오롯이 자연에 들어보는 시간! 놓치지 마세요!...

[모집]금강 트래킹 그 후 10년, 금강 그 따뜻한 품 안에 들다

[모집]금강 트래킹 그 후 10년, 금강 그 따뜻한 품 안에 들다

2009년 금강 트래킹 시작 후 10년이 지났습니다. 금강 보 철거와 수문개방을 위해 10년만에 부활한 2019 금강 트래킹! 이번 금강 트래킹은 최수경 금강생태문화연구소 숨결 소장과 함께합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참가신청은 4월 21일까지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또는 042-253-3241 로 하시면...

3월 숲육아 모임 “개구리야, 도롱뇽아”

3월 숲육아 모임 “개구리야, 도롱뇽아”

3월 숲육아 모임 “개구리야, 도롱뇽아”   미세먼지 없이 맑고 따뜻한 봄날, 3월29일 오전, 월평공원에서 배은혜, 이래, 함보현, 우진, 새별, 손을영, 유주, 고지현, 주한 이렇게 4가족이 모였습니다!   월평공원으로 들어가며, 봄기운 올라온 버들강아지, 쑥도 만나고 갑천에서 한가이 노는 오리떼도 만났지요!   미나리꽝에는 이미 산개구리, 도롱뇽 알과 올챙이가 가득했습니다~ 뜰채로 살짝 올챙이들을 건져 구경도 하고요~ 옹달샘에서 물놀이도 하고,...

녹색인문학모임) 우리 글 써봅시다! 4월엔 읽어요~

녹색인문학모임) 우리 글 써봅시다! 4월엔 읽어요~

지난 3월 26일(화) 저녁 7시, 녹색인문학모임에서는 은유 작가의 <글쓰기의 최전선>을 읽고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이 날 모임은 회원들 전원참석의 기록을 세운 날이기도 했는데요^^ 문광연, 김은정, 공대화, 이효준, 이재호, 이병연 회원께서 함께 해 주셨어요. 은유 작가의 <글쓰기의 최전선>은 글쓰기에 대한 작가의 생생한 경험과 조언이 읽기 쉽게 쓰여져 있어요. 실제로 읽으면서 '우리 글써봅시다!'해서 몇 분들이 쓴 글을 공유하고 서로 공감하기도...

월평공원에 봄의 전령사 산개구리와 도롱뇽이 나타났다!

월평공원에 봄의 전령사 산개구리와 도롱뇽이 나타났다!

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는건 자연의 섭리입니다. 따뜻한 봄이 오는 것을 가장 먼저 알고 생명의 씨앗을 만드는 이들이 바로 산개구리와 도롱뇽입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지난 26일(화) 갑천-월평공원에서 산개구리와 도롱뇽의 생명의 씨앗들을 모니터링했습니다.   갑천자연하천구간에 있는 습지입니다. 이곳은 작년가지만 해도 물이 가득차서 산란터로 이용을 했던 곳인데 올해는 어찌된일인지 물이 하나도 없어 습지가 말라가는 것은 아닌가 걱정이 됐습니다.   바로 인근에...

녹색인문학까페) 3월에는  읽어요!

녹색인문학까페) 3월에는 읽어요!

녹색인문학까페는 지난 2월 26일(화) 오후 7시, 이용주 회원이 운영하시는 우분투북스에서 <도시의 로빈후드>를 읽고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우리가 사는 도시를 돌아보고, 새로운 시도를 해 온 도시들의 이야기를 면면히 나누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날 모임에는 이수나, 이재호, 문광연, 김은정 회원께서 함께 해 주셨어요. 책방 우분투북스를 운영하시는 이용주 회원께서 편하게 자리를 마련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우분투북스는 유성구 어은동에 소재한 책방으로 다양한 책은 물론...

2월 녹색인문학까페,

2월 녹색인문학까페,

2월 인문학모임에서는 생태교통도시와 식량,경제대안을 일궈가는 도시들의 이야기가 담긴 박용남 저, <도시의 로빈후드>를 읽습니다. 저자는 현재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소장, 녹색전환연구소 이사 겸 《녹색평론》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역화폐, 내셔널트러스트 등 대안운동을 국내에 소개하고 정착시켰습니다. 또 외국의 유명한 생태·환경도시, 저탄소도시, 생태교통도시, 창조도시 등을 국내에 소개하는 많은 책들을 내기도 하셨지요. 세계의 생태도시들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우리는...

1월 인문학모임) 우리의 수염은 무엇일까?

1월 인문학모임) 우리의 수염은 무엇일까?

지난 1월 29일(화) 저녁, 새해 첫 인문학모임이 열렸습니다. 이 날은 그래픽노블 를 읽고 이야기 나눈 뒤 올해 읽을 책들을 각자 소개하고 선정했습니다. 모든 것이 완벽하고 말끔한 도시에 사는 데이브는 '저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채 평온한 일상을 보내던 중 수염이 거대하게 자라나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담담하게 그린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여러가지 모순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습니다. 현상의 내면이나 진실보다는 현재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데이브가 수염에 풍선을 달고 '저기'로...

튼튼한 마수세미 만들며 하하호호

튼튼한 마수세미 만들며 하하호호

12월 숲육아모임은 윤종남 회원댁에서 마수세미를 함께 만들어보았어요. 지난 12월 11일에 열린 송년의 밤, 윤종남 회원의 플라스틱 안쓰기 팁 중 마수세미 만들어 쓰신다는 이야기에 다들 귀가 솔깃! 윤종남 회원님의 미니멀라이프를 들으며 오랫만에 단순노동의 즐거움을 만끽했습니다. 본격 수세미 뜨기에 앞서 서로 소개하고, 녹색연합과 어떻게 인연을 맺게 되었는지 이야기 나누었어요. 윤종남 회원이 미니멀라이프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충격적(?)이었어요. 집에 물건이 많아 수납장을...

11월 녹색인문학모임) 참사람부족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다

11월 녹색인문학모임) 참사람부족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다

11월 녹색인문학모임은 송강동 산밑할머니묵집에서 열렸습니다. 이번달 함께 읽은 책은 말로 모건, <무탄트메시지> 입니다. 호주에 사는 원주민이 문명인에게 전하고자 하여 백인 의사와 넉 달간 함께 도보 여행을 하게 되는 이야기로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주는 메세지가 넘쳐나는 책이었지요! 이 날 김은정, 공대화, 이수나, 이재호, 문광연 회원께서 함께 해 주셨고 묵+동동주와 함께 문명의 한계와 참사람부족을 통해 느낀 자연의 위대함, 죽음과 삶에 대한 다양한 성찰이...

미세먼지가 뭔가요??

미세먼지가 뭔가요??

미세먼지가 정확하게 뭔가요?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TSP)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하고,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구분합니다. PM10은 보통 미세먼지, PM 2.5는 초미세먼지라고 불리우고 있죠.   잠깐 용어를 정리하면 초미세먼지라고 불리는 PM2.5도 전 세계적으로는 PM10과 같이 미세먼지라고...

11월 숲육아모임) 보문산 나무놀이터에서

11월 숲육아모임) 보문산 나무놀이터에서

11월 숲육아모임은 보문산 목재체험센터에 가보았습니다. 아직 목재체험은 할 수 없었지만 나무놀이터에서 아이들이 재미나게 놀 수 있었어요. 나무로 된 부엌놀이, 낚시놀이 등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들과 미끄럼틀도 있어서 4살-7살 큰 아이부터 걸음마 하는 작은아이 모두 신나게 놀 수 있었어요. 이 날 강재윤 회원과 시호, 은호 그리고 정구철 회원과 원영이, 전인희 회원께서 함께 해 주셨어요. 정구철 회원님은 낚시에 푹 빠져서 정작 원영이는 혼자 놀았다는 후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