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한 밥상”만들기 생생요리 공모전 ‘자연을 담은 밥상 만들기 시민한마당’ 행사에 시민들을 초대 합니다. 이와 함께 환경을 살리고, 건강을 살리는 생생요리 공모를 받습니다. 이 행사는 가족과 지구를 건강하게 하는 요리법을 소개해 주시고 직접 시연하는 자리입니다. 많은 시민들의 신청을 기다립니다. ●응모기간: 2003년 8월25일 - 9월30일 ●응모자격: 제한없음 ●응 모 처 : 대전충남녹색연합 우301-822 대전시 중구 선화동 20번지 창성빌딩203호...
활동
[캠페인]예산골프장 3차 캠페인 및 예산주민 1만 서명운동
보도자료2.hwp 골프장 백지화를 위한 예산주민 1만 서명운동 돌입 군유림은 예산군수의 땅이 아니다. 예산주민의 소중한 땅을 지키는 주민권리 운동 9월 5일 오전 10시, 예산군 골프장 백지화 3차 장날 캠페인 및 서명전 ○ 9월 5일(금) 오전 10시 예산읍내 일대에서 예산군골프장백지화를위한주민대책위, 예산전교조, 대전충남생명의숲, 대전충남녹색연합이 주최하는 예산군 골프장 백지화를 위한 3차 장날 캠페인 및 서명전을 진행한다. 이날 캠페인 장소는 예산역 앞, (구)공주산업대...
전국학교급식 활동가 워크삽 안내
일시: 2003년 9월 21일(일)~9월22일(월) 장소: 대전 동구 청소년수련관 참가비: 2만원 일정: 9월21일 일요일 17시 부터 22일 오전 9시까지 (세부일정은 추후공지합니다) 주제: 학교급식과 우리농산물사용 대안과 방안 모색 프로그램은 연수와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WTO' 왜 걸림돌인가 (국제통상변호사-섭외중) 자국산농산물 급식 외국사례(농촌경제연구원/농협조사부 김홍배) 정부는 WTO와 급식문제를 어떻게 바라보는가(교육부/외통부/행자부/농림부) 전국...
[성명서]예산군 골프장 백지화를 위한 2차 성명
성명서2.hwp < 예산군 골프장 백지화를 위한 2차 성명 > 골프장 건설을 포기하지 않는 예산군과 찬성 결의안을 채택한 예산군의회를 강력하게 규탄한다. 군유림은 예산군수의 땅이 아니다. 예산주민들의 소중한 땅인 군유림 180ha를 헐값에 매각하는 골프장 건설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 ! 예산군은 산림청의 산림복구계획에 따라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자연생태계 복원 및 산림복구에 적극 임하고 골프장 건설을 백지화하라 ! 예산군의 군유림 골프장 추진에 대한 예산군의회의 찬성 결의안이...
계룡산 천황봉 폐기물 민관 합동조사 의견서
8월 26일 충남도, 계룡대, KT, 교수, 환경단체,국립공원관리공단등으로 구성된 조사단에 환경단체인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이 참가하여 3시간 동안 각계의 의견과 폐기물 확인을 하였다. 보는 시각에 따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었지만 계룡산 천황봉의 원상회복에 대해서는 공통의 의견을 보였고, 여기에 모든 노력을 집중키로 하였다. 이번 조사는 환경단체에서 국무총리실에 계룡산 천황봉에 폐기물 처리 및 원상회복을 요청하고, 국무총리실에서 충남도에 원인조사를 의뢰하여...
꿈의 버스여 오라!
BRT(Bus Rapid Transit:급행버스시스템) 도입 토론회 개최 글 / 생태도시부 지난 8월 20일 오후 2시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는 대전버스사랑시민모임 주관으로'BRT(Bus Rapid Transit:급행버스시스템) 도입을 위한 대전시민 토론회'가 열려 최근 대전시의 차세대 공공교통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BRT‘시스템의 도입 가능성 및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등을 내용으로 열기 있는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주제 발제로 '대도시 교통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발표한...
예산군 골프장 건설 반대 기자회견과 서명운동
녹색연합과 주민대책위, 예산군 골프장 건설 반대 기자회견과 서명운동 오마이뉴스 / 장재완 기자 충남 예산군이 군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골프장 건설계획의 철회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예산군골프장백지화를위한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윤언식)와 대전충남녹색연합(대표 김규복)은 25일 10시 예산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예산군은 지역민들의 안전과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광시골프장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예산군에 따르면 지난해...
박정현, 사무처장
토론회에 참석한 박정현,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
참석자 모습
토론회는 기자, 시내버스운송조합 및 회사 관계자, 버스기사, 시민단체회원, 학생 등 토론장을 가득 메운 시민들의 BRT 도입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희망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권선필 교수
세번째 주제발제를 해주신 권선필 목원대학교 행정정보학과 교수님 BRT 시스템이 도시개혁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해주셨다
김기준 박사
두번째 주제발제를 해주신 김기준 교통환경연구원 부원장 국내외 BRT시스템 도입과 전망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발표해 주셨다.
김경철 박사
BRT 시스템도입을 중심으로 대도시 교통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발표하신 주제발제자 김경철,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대중교통연구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