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2.hwp < 예산군 골프장 백지화를 위한 2차 성명 > 골프장 건설을 포기하지 않는 예산군과 찬성 결의안을 채택한 예산군의회를 강력하게 규탄한다. 군유림은 예산군수의 땅이 아니다. 예산주민들의 소중한 땅인 군유림 180ha를 헐값에 매각하는 골프장 건설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 ! 예산군은 산림청의 산림복구계획에 따라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자연생태계 복원 및 산림복구에 적극 임하고 골프장 건설을 백지화하라 ! 예산군의 군유림 골프장 추진에 대한 예산군의회의 찬성 결의안이...
블로그
죄송해요!
저 보경입니다.! 오랜만에 왔어요! 저요!! 9월 6일날 못갈꺼 같네요! 과외가 있어서..!!ㅜ.ㅠ 속상하네요! 갈수 있게 되면 꼭 갈께요! 모두들 건강하시구요!! 보고시퍼여!
소박한밥상으로의 초대
소박한밥상으로의 초대 03.8.29일자 충청매일 사설 입니다. 이번에 녹색연합에서 주최하는 음식이세상을 바꾼다 행사의 일부로 진행되는 생생요리 컨테스트입니다.
CD에 잘못된 부분이…..
안녕하세요? 뜨거웠던 여름의 한가운데에서 갑천을 알고자 자전거순례를 떠나던 아이들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이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것이 여름의 끝자락에 와 있는듯 싶습니다. 저는요... 전재인 전재윤 엄맙니다. 엊그제, 갑천자전거순례에대한 동영상CD가 도착되었네요. 보면서 아이들이 참 대견하구나.. 선생님들 무지 많이 고생하셨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이 많이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번 여름방학을 지나면서 아이들의 마음속 키가...
계룡산 천황봉 폐기물 민관 합동조사 의견서
8월 26일 충남도, 계룡대, KT, 교수, 환경단체,국립공원관리공단등으로 구성된 조사단에 환경단체인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이 참가하여 3시간 동안 각계의 의견과 폐기물 확인을 하였다. 보는 시각에 따라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었지만 계룡산 천황봉의 원상회복에 대해서는 공통의 의견을 보였고, 여기에 모든 노력을 집중키로 하였다. 이번 조사는 환경단체에서 국무총리실에 계룡산 천황봉에 폐기물 처리 및 원상회복을 요청하고, 국무총리실에서 충남도에 원인조사를 의뢰하여...
순례단에서 환경지킴이로
잘들 지내시지요. 한이틀 비가 많이도 내리더니만 오늘은 정말 날씨가 좋네요. 바람도 살살불어오고 덥지도 않은 것이......... 우리친구들은 이제 개학을 해서 학교를 다니고 있겠군요. 그리고 여러 선생님들도 다들 일상속에서 바쁘게 지내고 있겠구요. 이제 갑천순례단은 다시한번 환경지킴이로 거듭나야 할것 같습니다. 그래서 9월 6일 토요일 오후 2시에 녹색연합 사무실에서 만나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만들었으면 합니다. 앞으로 우리들의 모임을 어떻게 만들어가고 어떤것들을 배우고...
여행다녀왔어요.
오늘 첨 가입해서 들어와 읽은 글이 너무 아름답내요.. 꿈에 그리던 여행 같습니다. 아이가 쪼금만 더 크면 꼭 가고야 말겠씀다! * *
꿈의 버스여 오라!
BRT(Bus Rapid Transit:급행버스시스템) 도입 토론회 개최 글 / 생태도시부 지난 8월 20일 오후 2시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는 대전버스사랑시민모임 주관으로'BRT(Bus Rapid Transit:급행버스시스템) 도입을 위한 대전시민 토론회'가 열려 최근 대전시의 차세대 공공교통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BRT‘시스템의 도입 가능성 및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등을 내용으로 열기 있는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주제 발제로 '대도시 교통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발표한...
예산군 골프장 건설 반대 기자회견과 서명운동
녹색연합과 주민대책위, 예산군 골프장 건설 반대 기자회견과 서명운동 오마이뉴스 / 장재완 기자 충남 예산군이 군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골프장 건설계획의 철회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예산군골프장백지화를위한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윤언식)와 대전충남녹색연합(대표 김규복)은 25일 10시 예산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예산군은 지역민들의 안전과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광시골프장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예산군에 따르면 지난해...
박정현, 사무처장
토론회에 참석한 박정현,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
참석자 모습
토론회는 기자, 시내버스운송조합 및 회사 관계자, 버스기사, 시민단체회원, 학생 등 토론장을 가득 메운 시민들의 BRT 도입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희망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권선필 교수
세번째 주제발제를 해주신 권선필 목원대학교 행정정보학과 교수님 BRT 시스템이 도시개혁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해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