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식_보도자료(녹색).hwp 6월 5일 환경의날 기념,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충청지사 대전지역 대기오염 개선 프로젝트 공동 추진 협정식 6월 5일은 ‘세계환경의날’이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대전의 도시환경은 점점 열악해져가고 있다. 특히 자동차 증가로 인한 도시 환경공해와 환경파괴는 이제 우리 아이들의 건강과 시민들의 안전, 지역 자연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70만 명이 대기오염 때문에 죽고...
블로그
친환경 아크릴 수세미 함께 만들어요!
수질오염의 원인은 크게 생활하수, 공장 폐수, 축산 폐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총 폐수 발생량의 60%가 생활하수이고 다음이 공장폐수 39%, 축산폐수가 1% 순으로, 생활하수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생활하수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주방세제로 인한 오염입니다. 기존의 수세미는 주방세제를 지나치게 많이 흡수하여, 세제를 남용하게 하고 세균번식의 위험이 있어 위생상의 문제점도 있습니다. ▲아크릴 수세미 친환경 아크릴 수세미는 기존의 수세미가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공원개발로 부춘산 산림훼손 심각
공원개발로 부춘산 산림훼손 심각 11. 서산 가루고개-수량재 ▲대규모 골프연습장 조성공사▲ 홍성의 홍동산에서 덕숭산, 가야산, 일락산, 서산의 상왕산으로 굽이치며 금방이라도 서해 바다로 뛰어들 것 같던 내포권 금북정맥의 웅장한 산세는 서산으로 접어들며 돌연 자취를 감춘다. 상왕산 자락의 명종대왕 태실을 지나면 가루고개. 여기서부터 서산종합운동장 뒤편의 솔개재에 이르기까지 20여km는 150-200m의 얕은 능선으로 금북정맥이 이어진다. 금북정맥은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고장난...
구청장후보 막개발.헛공약 및 좋은공약 발표
20060525_기초단체장_헛공약_발표_자료집.hwp 대전지역 기초단체장 후보 막개발.헛공약 선정과 좋은공약 발표 기자회견 자료집입니다. 취지 : 막개발 헛공약 선정을 발표하며 2006지방선거대전시민연대는 이번 531지방선거가 실질적 지방자치를 뿌리내리는 지방정치 개혁과 혁신의 원년으로서 지방선거 본래적 의미로서의 유권자 축제의 장으로 만들어가려고 노력해왔습니다. 따라서 어느 당, 어느 후보가 당선되든 간에 풀뿌리 민주주의와 자치, 생태, 문화가 어우러진 지역사회의 미래상에...
대전의 생태희망 3대하천 반딧불이를 찾아 떠나는
대전의 생태희망 3대하천의 반딧불이를 찾아 떠나는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다른 곤충에 비하여 유난히 약한 반딧불이는 대표적인 환경지표 곤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결코 산세 깊은 첩첩 산중의 계류에서만 고고히 홀로 떨어져 살지 않습니다. 논두렁, 밭두렁, 동네 입구, 또 집 마당에서 사람과 함께 살아 왔기 때문에 반딧불이를 떠올리면 물 맑고 한적한 시골풍경을 연상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반딧불이가 살 수 있는 공간은 인간이 살기에 쾌적한 곳이고,...
충청남도지사 후보 금남북정맥 보전 관련 질의결과
도지사_후보자_회신결과.hwp < 5.31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후보 금남∙북 정맥 보전 관련 질의 결과 > 4당 후보 모두, 금남∙북 정맥 보전 사업 적극 추진 약속 1. 금남∙북 정맥 실태 조사 실시 2. 금남∙북 정맥 보전을 위한 법률 제정 3. 통합관리를 위한 행정체계 및 협의체 구성 등 약속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올해, 최초로 금남정맥 환경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지역의 생태축인 금남정맥의 실태와 가치를 지역사회에 알리고 있다....
[현장체험]생명력이 넘치는 고향으로…
생명력이 넘치는 고향으로.. 녹색의 신록이 물들어 가는 생명력 넘치는 고향. 그곳으로 오리 농군과 우렁 각시를 만나러 갑니다. 친환경 농업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위해 우리가 참여하여 함께 만들어 갑니다. ▲오리입식▲ “바리실 마을” 마을 지형이 바리와 같다하여 바리실이라 불려졌습니다. 사과가 유명하고, 약초인 지황을 많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녹색연합과 함께 오리와 우렁 입식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농민의 넉넉한 인심으로 인삼막걸리와 안주를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수덕사 주차장 확장…덕숭산 벌거숭이
수덕사 주차장 확장...덕숭산 벌거숭이 10. 홍성 홍동산-서산 성왕산 ▲한티고개의 석산개발 현장▲ 홍성 홍북면과 예산 덕산면의 경계에 있는 홍동산(308m)은 내포권 금북정맥의 기준이다. 보령과 홍성 일대 비산비야(非山非野)의 야트막한 구릉지대가 끝나는 지점이자 덕숭산(495m), 가야산(698m), 일락산(521m) 등의 웅장한 산줄기가 시작되는 지점에 솟아 있기 때문이다. 동쪽의 넓은 산이란 뜻의 홍동산도 개발의 손길에선 온전하지 못해 동쪽 산자락으로 석산개발이 이뤄지고...
백초효소 담그기
백초효소를 한아름 담아가신 분들....
백초효소 담그기
벚나무 그늘아래에서 조영아 회원의 들꽃이야기
백초효소 담그기
모아온 백초를 5cm정도의 크기로 자르고 백초와 흑설탕을 1:1 비율로 잘 섞어서 항아리에 담고 서늘한 곳에서 6개월 정도 숙성을 시키면 몸에 좋은 효소가 된다.
백초효소 담그기
신안사에서 만난 다람쥐 줄무늬가 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