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갑천지구 개발, 소통은 없었다
(한겨레 신문 울림마당 / 김성중 팀장)
지난 1일 권선택 대전시장이 민선 6기 1년을 맞아 대전시정을 브리핑했다.
시장은 이 자리에서 “지난 1년은 경청과 현장이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모든 것은 경청에서부터 시작한다.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밝혔다. 권 시장은 이어 “그 결과 이제 더 이상 대전시에서는 소통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 사라졌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권 시장의 말대로 대전시의 모든 분야에서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면, 도안갑천지구 친수구역 개발사업(이하 갑천 개발사업)을 밀어붙이는 건 어떻게 봐야 할까?
대전시가 5300억원이라는 큰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는 갑천 개발사업에서 소통은 없었다.
갑천 개발사업은 대전 도안, 원신흥동 일대에 호수공원과 주택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민선 3기 공약사업이었으나 사업 초기 적자가 700억원에 이르러 보류된 사업이다. 이명박 정권 당시에는 4대강 사업에 편승해 사업을 추진하려 했으나 국비를 확보하지 못했다.
이 사업에 대해, 권 시장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뒤 연 ‘대전시민경청위원회’에서 “갑천 개발사업은 공론 과정을 거쳐 의견을 수렴해 (추진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권 시장은 지난 2월 갑천 개발사업을 재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공론 과정도, 시민과의 소통도, 전문가들의 공개토론회도 없었다.
이 계획은 갑천이 흐르는 생산농지에 인공호수공원을 만들어 친수구역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또 인공호수공원을 조성하려면 자금이 필요하므로 호수공원 주변에 5000가구가 입주하는 아파트 단지를 만들겠다는 것이 요지다. 천혜의 친수공간에 호수공원을 만들려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어처구니없는 계획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나. 신규 택지 개발사업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대전시가 갑천지구 개발사업에 민간 건설업체의 참여를 검토하고 있어 건설사 특혜 의혹까지 일고 있다는 점이다. 시민들이 문제점을 제기하며 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권 시장과 대전시는 이렇다 할 답변 없이 계속 추진하고 있다.
‘도안갑천지구 친수구역 개발사업’ 부지와 주변 지역은 800종 이상의 야생동식물이 사는 대전 도심의 생태축이다. 이런 자연유산을 명분 없는 아파트 건설사업으로 파괴하는 것이 대전시가 말하는 친환경적인 개발인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권 시장이 시민과 소통하기를 촉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