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4일 저녁 6시 30분. 용전동 국토관리청 앞으로 200여명의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9월 30일 대전역에서 시작하였던 릴레이 촛불이 금강을 따라 돌고 돌아 대전에 도착했습니다.
당초 대전역에서 예정되어있던 촛불문화제는 그간 금강정비사업 시행처로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을 규탄하는 의미로 장소를 변경하여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촛불집회에는 민주당 대전시당, 진보신당 대전시당, 민주노동당 대전시당, 전교조 대전지부, 민주노총 대전충남본부,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 기독교 예수살기, 대전 노사모, 금강을지키는사람들 등 다양한 단체와 시민들이 참여하였습니다.
최근 국감에서 4대강사업의 많은 문제점들이 밝혀졌고, 충남도 4대강특위에서도 재검토 및 중단요청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런 가운데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금강살리기 유등 1.2지구 사업 중 2구간이 환경영향평가도 받지 않고 사전 불법공사를 진행해 대전시민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이상덕 대전충남녹색연합 상임대표는 이 날 몇 일전 유등천 불법공사와 관련하여 국토관리청장에 항의 방문을 하러 갔을 때, 시민을 무시하고, 언론을 깔 본 청장의 행동에 개탄하며, 4대강 사업은 반드시 중단되어야 한다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주당 대전시당 박범계 위원장은 충남도의 입장발표에 대해 사업권 회수로 위협하는 정부의 행태를 꼬집으며, 법을 무시하고 고무줄처럼 늘어가고 있는 4대강 예산을 삭감하여 서민 복지를 위해 쓰여야 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민주노동당 대전시당 김창근 위원장은 이미 정비가 된 국가하천에 돈을 쏟아 부을 것이 아니라, 소하천과 지방하천에 예산을 사용해야 함에도 대다수 국민의 뜻을 무시한 채 강행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는 하야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진보신당 대전시당 김윤기 전 사무처장은 현재 지나친 토건주의에 물들어 있다며 토건 중심의 삶의 방식을 바꾸기 위해서라도 4대강 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규탄발언을 마치고 촛불문화제에 참여한 사람들과 함께 국토관리청을 에워싸고 다시 한번 더 소리 높여 4대강 중단을 외쳤습니다.
4대강사업은 강을 죽이는 것 뿐만 아니라 그 강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사람도 죽이는 일입니다.
안하무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지금이라도 당장 금강정비사업을 중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