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금강 자전거길 개통 관련 입장

2012년 4월 24일 | 금강/하천

자전거길_개통_성명.hwp

금강 자전거길 개통 금강을지키는사람들 입장
금강 자전거길, 기능성 떨어지는 돈 먹는 하마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과 충청남도, 공주시는 4월 22일 시공사와 자전거동호인 등이 참여한 가운데 공주보 일대에서 금강 자전거길 개통행사를 진행하였다. 금강종주 자전거길은 4대강사업 금강정비사업으로 충남 서천군 금강하구둑에서 대전 대덕구 대청댐까지 금강변을 따라 총 연장 146㎞를 수백억원을 들여 조성되었다.
4대강 자전거길 개통 행사가 있던 4월 22일은 지구의날이었다. 지구의날 행사의 가장 상징적인 자전거는 4대강 현장에서 그 가치와 의미가 왜곡된 체 동원 수단이 되었다. 정부는 4대강을 23조 이상을 들여 파헤치고 대형보를 만들어 물길을 막아 썩게 해놓고 4대강 자전거길이 온실가스를 줄이고 녹색환경을 후손들에게 물려주는 일이라고 떠벌리고 있다. 이것은 “멀쩡한 사람을 중태에 빠뜨려 놓고 화사한 환자복을 입혀놓고 예쁘다”고 하는 꼴이다.
금강 자전거길도 건설과정에서 금강변의 수려한 경관과 환경을 훼손하였다. 금강 1공구 우안 양화일대는 자전거도로를 건설하면서 수변과 연결된 숲이 절개되고 파괴되어 경관과 녹지가 크게 훼손되었고 충남도가 시행한 부여 현북 양수장 부근 파진산 일대도 한 사람 정도 다닐 수 있었던 예쁜 오솔길이 있는, 자연 경관과 생태계가 매우 우수한 구간이었지만 나무를 베고 바위를 깨 기초공사를 하고 데크형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여 경관과 환경이 크게 훼손되었다. 자전거길을 만들면서 환경훼손이라, 자전거길의 목적과 기능을 의심하게 만든다.
그리고 온실가스를 줄이려면 자가용 대신 자전거를 타야한다. 대도시 시민들이 자가용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여 출퇴근이나 통학을 해야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지 4대강 자전거 종주는 환경적인 효과와는 거리가 먼 스포츠나 레저 활동이다. 4대강 자전거길은 4대강 주변 주민들이 아니면 이용하기 어렵고 일반 국민들이 이용하려면 4대강 자전거길까지 자전거를 차에 실어서 오게 된다. 그러면 오히려 온실가스를 유발하게 된다.
4대강 자전거길 관리는 더욱 문제다. 정부가 올해 4대강 유지관리비로 1,300여억원을 편성했지만 4대강 지자체들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시설 인수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한강의 친수구역 관리비가 1Km당 10억원, 태화강의 경우 2억원인 점을 비춰볼 때 금강 친수구역 관리비의 경우 최소 3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수백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기능성도 낮은 자전거길과 친수공간에 막대한 국민혈세가 계속 투입되어야 할 판이다.
충남도와 공주시는 정부의 자전거길 개통행사에 참여하여 부화뇌동할 것이 아니라 자전거도로 및 치수공간 관리에 대한 대책과 대안을 요구해야 할 판이다.
4대강사업은 준공을 바로 코 앞에 두고 있지만 정부가 처음에 밝힌 목적과 성과는 대부분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보의 누수, 하상바닥보호공 유실 및 쇄굴, 재퇴적으로 인한 준설효과 상실, 보 담수 인한 수질 문제 등 우려했던 문제들이 현실이 되고 있고 자전거도로도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효과와 지역 관광효과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4대강사업이 대국민 사기극으로 점점 확인되고 있는 만큼 금강을지키는사람들은 4대강 사업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묻고 대책과 대안을 마련할 것이다.
2012년 4월 24일
금강을지키는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