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꽁이모니터링_조사지점.hwp
맹꽁이모니터링_보도자료.hwp
날 짜 : 2011. 6. 29 (수)
발 신 : 고지현 녹색사회국 팀장(042-253-3241, 010-9224-5095)
수 신 : 각 언론사 사회부 기자
제 목 : 제1회 대전시민 맹꽁이모니터링 조사자 모집 건(총 2매)
2011 BlueSky 프로젝트(Since 2005)
‘제1회 대전시민 맹꽁이모니터링’ 조사자 대모집
기후변화 시대 환경지표종 맹꽁이를 찾아라!
장마철, 대전 100개 맹꽁이 서식지 시민조사 실시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충청지역본부는 ‘제1회 대전시민 맹꽁이모니터링’의 조사자를 6월29일부터 모집합니다.
‘제1회 대전시민맹꽁이모니터링’은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가 미래세대에게 푸른하늘을 물려주기 위해 2005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Blue Sky 프로젝트’사업의 일환으로 기후변화 시대에 빠르게 멸종되고 있는 양서류 중 도시 환경깃대종인 맹꽁이를 대전시민들이 직접 모니터링하고 맹꽁이 서식처 보호를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동물인 양서류는 물과 땅 양쪽을 오가며 살아가는 동물로써 그 중 맹꽁이는 점점 살아져가는 도시 환경지표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맹꽁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Red List)에 올라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2급 동물로 보호하고 있기도 합니다. 맹꽁이는 여름 우기철에만 잠깐 그 모습을 관찰 할 수 있는데 기후변화와 택지개발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맹꽁이를 보기는 갈수록 더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대전 도심 안에서도 맹꽁이 서식지가 발견되고 있으나 대전시는 맹꽁이 서식지 파악과 보호 대책 등에는 관심이 없는 실정입니다.
대전 도심 안에 얼마나 많은 맹꽁이가 대전시민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지 그 서식지 실태는 어떠한지 시민들이 직접 확인하고 맹꽁이에 대한 관심 갖게 할 ‘제1회 대전시민 맹꽁이모니터링’에 지역 언론의 관심과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 ‘제1회 대전시민 맹꽁이모니터링’ 조사개요 >
조사기간 : 2011년 7월 17일(일) ~ 8월 7일(일) 3주간
조사지역 : 대전 전 지역
대상 : 맹꽁이에 관심 있는 대전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청소년환경동아리 환영)
모집기간 : 2011년 6월 29(수)~7월 15일(금)
오리엔테이션 : 7월16일(토) 오후3시 (※오리엔테이션 필참, 장소 추후 공지)
신청방법 : 전화 253-3241~2, 블루스카이 프로젝트(www.blueskykorea.org)
<자세한 신청방법>
1. 블루스카이 프로젝트 홈페이지(www.blueskykorea.org)에 들어갑니다.
2. 홈페이지 내 ‘대전시민 맹꽁이 모니터링’ 신청하기 누릅니다.
3. 지정된 사이트에서 자기가 모니터링 가능한 곳을 선택하고 신청서을 작성합니다.
※한 사이트에는 한 가족이나 한 팀만 신청
4. 지정된 사이트 외에 내가 알고 있는 맹꽁이 서식지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알고 있는 맹꽁이서식지의 정확한 위치와 이전에 관찰했던 내용을 정확하게 작성해서 신청함(관찰 시기 및 내용, 관찰 지점을 약도 혹은 상세히 기술).
5. 신청이 확정되면 사무처에서 문자 발송합니다.
6. 조사 신청자들은 7월16일(토) 사전교육에 필히 참석 해야 합니다.
조사방법
-. 사전교육을 통해 맹꽁이에 생태적 특성과 맹꽁이 모니터링 방법을 익힌다.
-. 조사기간 중 비가 오는날 자신의 조사지점에 간다.(반드시 1인 이상 함께 조사)
-. 맹꽁이 울음소리와 성체 혹은 알과 올챙이를 확인한다.
-. 울음소리는 녹음하고 성체나 알은 사진을 꼭 찍고 조사일지에 조사내용을 작성한다.
-. 조사 후에는 반드시 블루스카이 프로젝트 홈페이지에 조사 후기를 남기고 관찰한 내용을 상세히 적어 올린다.(사진, 녹음파일, 관찰된 세부 지점 약도, 특이사항 등)
기타
1. 중고등학교 자원봉사 활동 인정
2. 모니터링 후기를 성실히 작성해서 올려주신 분들에게는 우리지역 자연생태도감[도심속 자연친구] 혹은 환경책 지급
문의 : 대전충남녹색연합 녹색사회국 고지현 팀장(253-3241 / 010-9224-5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