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_4.12.hwp
시민과 함께 만드는 녹색대동세상 대전충남녹색연합
우) 301-822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 20번지 창성빌딩 203호 / 전화 253-3241~2
F. 253-3244 / 홈페이지 www.greendaejeon.org / 이메일 greendaejeon.org
성 명 서
날 짜 : 2011년 4월 12일 (화)
발 신 : 대전충남녹색연합 (담당 : 양흥모 사무처장 253-3241, 010-2795-3451)
수 신 : 각 언론사 환경담당 기자
제 목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최악 7등급, 자치단체도 대책 서둘러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최악 7등급, 자치단체도 대책 서둘러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사고 발생 한달 만에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오늘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마지막 단계인 7등급으로 격상했다. 7등급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으로 ‘한 국가 이외의 광범위한 지역으로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방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유출량이 궁극적으로 체르노빌의 수준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방사능 오염과 피해가 광범위하고 장기화 될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현재도 방사성 요오드 및 옥소 등 방사능 물질이 계속 대량으로 유출되고 있고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 이송 작업을 시도하고 있지만 방사능 오염수의 바다 유입도 배제할 수없는 상황이다. 최근 방사능 저농도 오염수 1만 300톤은 바다에 무단 방류했다.
후쿠시마 원전 인근 바다에서는 기준치의 740만배에 달하는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대기와 빗물에서 방사능 물질이 계속 확인 되고 있고 수산물에서도 방사능 물질이 확인 되는 등 피해가 확산되는 추세다.
하지만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의 관련 대책은 매우 부족하다. 관련 예산과 인력이 없다는 핑계로 대책마련을 미루고 있다.
대전과 충남지역에는 대기 중 방사능 물질을 측정하는 측정소가 대전 한곳 밖에 없다. 자치단체의 정수장이나 상수원을 관리하는 한국수자원공사에도 측정설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농⋅축⋅수산물이 유통되는 과정에서도 방사능 물질 오염 여부를 알 수 있는 검역 시스템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대책마련은 뒷전인 채 안전타령만 하는 정부와 자치단체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계속 커져가고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구체적인 행정과 정책으로 일을 해야지 국민 홍보로 일을 해서는 안 된다.
안전대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특히 치명적인 핵 관련 대처는 시급하고 체계적인 행정과 정책이 요구된다. 없다면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한다.
< 우리의 주장 >
1. 정부는 국가 방사능 물질 측정소를 확대하라.
2.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는 방사능 물질 간이측정소 설치, 정수시설 측정설비 등을 신설하라.
3. 수자원공사는 상수원 방사능 물질 측정설비를 신설하라
4.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는 농축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물질 검역 시스템을 마련하라.
5. 대전광역시는 하나로 안전대책 및 방제계획을 강화하라.
6. 정부는 노후 원전 연장 및 원전 신설 계획을 중단하라.
7. 정부와 자치단체는 에너지 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강화하라.
8.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수립하라.
2011년 4월 12일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 : 이상덕, 김규복, 한원규, 이상선, 최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