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식품).hwp
시민과 함께 만드는 녹색대동세상 대전충남녹색연합
우) 301-822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 20번지 창성빌딩 203호 / 전화 253-3241~2
F. 253-3244 / 홈페이지 www.greendaejeon.org / 이메일 greendaejeon.org
보 도 자 료
날 짜 : 2008. 6. 27 (금)
발 신 : 대전충남녹색연합 (담당 : 유병연 국장 253-3241, 019-432-3132)
수 신 : 각 언론사 사회, 환경담당 기자
제 목 : 대전광역시 식품안전망을 구축하라
대전광역시 쇠고기 유전자 검사 2007년 실적제로
대구광역시 쇠고기 유전자 검사 2007년 실적 505건
대전광역시는 시민의 식품안전을 위하여
농수축산물 검사를 확대하라
▢ 서울특별시 가락시장은 일평균 7,000톤의 농산물이 반입되어 속성검사 450건, 정밀검사 40건을 실시하고 있는데 반하여, 대전광역시는 노은, 오정 농산물시장은 일평균 1,100톤의 농산물이 반입되어 약40여건을 속성 및 정밀검사를 병행하고 있다. 따라서 가락시장은 14톤에 1건을 검사하는 반면 노은, 오정시장은 27톤당 1건을 검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전광역시 농수축산물검사소를 확대해야 하며, 특히 오정동시장은 검사 기능이 없어 시급히 신설 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전광역시는 현재 보건환경연구원 3명의 연구사를 감원 하라는 시대착오적 발상을 하고 있다.
▢ 최근 시민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하여 관심이 확대되는 가운데 수도권에서 수입쇠고기가 한우로 둔갑된 29,000kg에 대하여 대전광역시는 국내산과 수입산을 감별할 수 있는가. 라는 대전시 게시판을 통한 질문 답변에서 “대전충남에서 공인기관은 없다고 답변 하였으며,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에 한우 감별에 필요한 인력, 장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99%감별 가능 하다고 하였으며, 1%의 오차에 대한 이야기와 억울함이 없어야 한다고 답변 하였다, 그러한 이유로 대전광역시뿐만 아니라 타 시도 축산물위생검사기관에서 민원에 의한 한우고기 감별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2008년 6월25일 언론보도에 의하면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들어 쇠고기 유전자 검사의뢰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7년 505건이 올 해 벌써 403건이 의뢰돼 작년 실적의 80%를 달하고 있으며, 특히 일반 의뢰 건수는 작년 기간과 비슷한 수준이고, 6월 현재 학교급식용 쇠고기 의뢰 건수는 344건으로 작년 52건 대비 500% 이상 늘어났다고 밝혔다. 따라서 대전광역시의 답변은 부정확한 답변으로 들어났다.
▢ 대전광역시 교육청은 한우 감별을 위하여 올해 20개 학교를 세 번에 걸쳐 경기도 축산과학원에 의뢰 계획을 밝혔다. 비용과 시간을 들어서 우리 지역에서도 할 수 있는 일을 경기도까지 가서 해야 하는지 대전광역시장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현재 대구광역시 학교에서 의뢰한 344건과 비교하여 대전광역시 교육청이 287개 학교에서 60여건을 한다는 것은 얼마나 작은 수치인지 알 수 있다.
▢ 대전충남녹색연합은 대전광역시에 경기도와 같이 우수축산물 1등급 축산물을 경기도와 같이 공급해 달라고 요청 하였으나, 대전광역시는 도입 불가로 답변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축산물 혼입 및 등급이하 사용, 항생제 사용 축산물 등 학생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대전광역시에 다시 한 번 전향적으로 검토하여 우수 축산물인 1등급 축산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과 제도 그리고 시스템을 만들어 주기를 바란다. 경기도는 학교급식식품비와 상관없이 공급하고 있으며, 올해 학교급식 조례가 제정되어 2009년부터 학교급식식품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그러나 경기도는 현재 자치단체 중 학교급식식품비를 가장 많이 지원하는 자치단체이다.(기초자치단체 지원액)
끝으로 대전광역시에 식품안전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하나. 대전광역시는 산하 보건환경연구원의 인원 축소가 아닌 확대를 통하여 농산물 안전성 검사 확대, 한우감별, 오정시장 농산물검사소 개소 등을 즉각 실시하라.
하나. 대전광역시는 경기도와 같이 일등급축산물을 학교에 공급하라.
하나. 대전광역시 교육청은 한우감별 학교를 확대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와 협의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