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식물의 이해-수업정리안

2006년 10월 19일 | 갑천생태문화해설사

제목 : 식물의 이해
강사 :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실 이상명 선생님
장소 : 실내-녹색연합 나무그늘, 실외-갑천 성심병원 앞
<실내 수업>
*생물과 무생물의 분류는 호흡의 유무로 나뉜다.
*생물 5단계 분류 : 원핵생물, 원생생물, 균류, 식물, 동물
*식물은 크게 고등식물과 하등식물로 나뉜다.
*식물 분류 :
-고등식물 :- 은화식물(꽃이 숨어있는 식물, 양치식물)-고사리류
– 현화식물(꽃이 드러나는 식물) :나자식물(겉씨식물):소나무류(송백류), 피자식물(속씨식물):단자엽식물(외떡잎식물),쌍자엽식물(쌍떡잎식물)
-하등식물 – 조류 : 해조류, 플랑클톤, 지의류(조류+균류) – 바위에 하얗게 끼는 것, 선태류: 이끼
* 물의 오염은 크게 중금속 오염과 영양물질과다로 볼 수 있다.
* 조류 : 흔히 민물은 남조, 바닷물은 적조가 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물에 따라 조류가 정해져서 발생하지는 않는다.
1) 갈조식물 : 미역, 김-27도가 넘으면 녹아버림(월하를 하지 못함)
2) 남조식물 : 발생이 심해지면 정수장 침사지(모래)가 막히는 현상이 많아 청소를 자주해야 함. ‘와편모조류’와 함께 독성 분비(간에 치명적임, 독성이 청산가리의 12배임), 아나바나속- 질소 고정함
3) 황색편모조식물 : 고산습지에 서식, 물비린내(어취) 발생. 고산습지의 특성 :수온이 낮고 일조량이 적으며 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 이탄층 형성(식물이 썩지 않고 쌓임->산성이며, 양분이 적다)
4) 규조식물 : 담수조류의 2/1이상임. 부착조류로 굴껍데기 규산물은 모두 규조식물을 먹고 생김. 굴, 전복이 먹는 미역, 다시마에 많이 붙어 있음.
5) 와편모조식물 : 바닷물이 적조의 대표, 꼬리가 2개인데 편모 하나가 누어있음.
6) 유글레나식물 : 축사 등의 오염물질이 있을 때 발생. 그래서NH4 지표생물
7) 녹조식물 : 저층습지-우포 등에서 발생
8) 윤조식물 : 돌려나기이며 붕어마름과 비슷함, 가지밑에 갈색의 점액이 붙어 있으며, 결각이 없다.
* 양치식물
포자가 잎 뒷면 – 고사리류
포자가 별도 – 고비류, 나도고사리삼목
* 수생식물 : 통기조직이 있다(부레옥잠, 마름…), 통기조직의 면적으로 분류하면 갈대는 통기조직이 없으므로 수초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음.
* 속씨식물
꽃잎의 갯수로 찾아갈 수 있다 : 4장 십자화, 5장 장미과
이판화 : 꽃잎이 떨어진 꽃,
합판화 : 꽃잎이 붙은 꽃
*수생식물: 조건 – 수심, 탁도, 유속
제초제의 피해가 많고, 탁도에 의해 피해. 인간의 간섭이 많은 부분의 피해를 준다
1) 추수식물 : 물가 – 갈대, 부들
2) 부엽 식물 : 뿌리는 물밑에 박고 가지는 물위에 드러냄.잎-침수엽과 부수엽이 있음. 침수엽:잎 주름이 쪼글쪼글하며 유속에 적응, 부수엽:유속이 빠르면 찢어짐. 그래서 가시연꽃은 물속에서는 침상이고 물위에서는 유선형으로 변형.
3) 부유식물 : 뿌리와 줄기 모두 물위를 동동 떠다님.
4) 침수식물 : 온몸을 물속에 담고 있음. 물오염에 의한 타격이 크다.->물이 탁하면 햇빛이 안 비춰 광합성이 안됨. 그래서 개체수 감소가 많다.
* 종류 : 새우가래- 갑천에 많다. 잎 끝이 좌우 비대칭
말즘- 잎이 쪼글쪼글(파상), 주맥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대가래- 물량에 따라 잎의 차이가 크다.2cm~40cm
나사말- 꽃대가 용수철과 같다(꼬불꼬불)
이삭물수세미- 물 밖으로 꽃대가 나와서 핀다.
물수세미- 물밖으로 잎,꽃이 나오기도 함. 꽃이 액생
부들 : 암수가 붙어 있음
애기부들 : 암수가 떨어짐.
꼬마부들 : 바닷가에 살고 작다.
넓은부들 : 크다
<현장수업>
퇴적 지역에 들어오는 순서:줄->큰고랭이->부들->갈대->갯버들
*갑천에서 만난 식물
줄 : 잎 좌우를 싸며 올라온다.고니가 줄, 부들의 지하경을 먹는다.
뚜껑덩굴 : 줄에 붙은 덩굴식물로 열매가 뚜껑처럼 열린다.
마름 : 초기 부엽, 후반기 부유 – 꽃잎, 꽃받침모두 4장으로 꽃받침 양쪽으로 뾰족한 뿔이 나온다.
애기마름 : 뾰족한 침이 4개가 나온다.
붕어마름 : 이름만 마름이고 마름하고 모양은 다르다. 물정체 지역, 돌려나기, 잎의 거치가 있다.(윤조와 구별, 윤조는 더 깨끗한 곳에 자람)
나사말 : 꽃대가 용수철 모양으로 꼬불꼬불함
대가래 : 잎끝, 급첨두, 2m까지 자람.
말즘 : 주맥을 중심으로 잎끝이 대칭, 4월에 개화
새우가래 : 잎끝이 비대칭
검정말 : 돌려나지 않는다. 침수식물, 어항에 심어놓고 햇빛에 놓으면 뽀글뽀글 산소가 올라가는 것이 보임
달뿌리풀 : 줄기가 땅위를 기어간다(포복),개체수가 많으면 곧추서고 개체수가 적으면 많은 땅의 점령을 위해 많이 긴다.
갈대 : 줄기가 땅속으로 간다.
고마리 : 수로, 하수구 근처에 많다
방동사니
여뀌 : 독성이 강함
제비꽃 : 봄~여름 개화, 가을꽃은 폐쇄화가 있으며 일부 자가수분한다.
물지칭개 : 겨울에 강함. 외래종, 추수식물
* 성심병원 앞보다 건너편에 수생식물 다양. 물이 치는 곳은 1년생이 많고 반대편은 물살이 몰아치지 않아 물이 깊고 다년생 침수식물이 있다.
* 추수식물 구별 :
물억새 : 잎, 꽃대 붉은 빛이 돌며 꽃도 약간 갈색
억새 : 꽃의 끝이 빗자루처럼 몽땅하며 하얗다
달뿌리풀 : 꽃의 끝이 말꼬랑지처럼 뾰족하다.
창포 : 40cm가량의 키로 수직으로 곧추선다.
애기부들 : 잎이 가늘며 하늘거린다
줄 : 잎이 축축 늘어진다.
** 혼자 정리한 것이라 잘못된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고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