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아재비입니다.
수서노린재목에 속하는 것으로 소금쟁이,물장군,게아재비가 있음
1.호흡
(가)대기중의 산소를 이용하는 것:
*딱정벌레목의 성충, 노린재목,파리목 일부
*가끔 물밖으로 떠올라 기문(무척추동물의 호흡문)으로 호흡
*긴호흡관을 물밖에 내어 호흡
*물방개는 물밖에서 공기방울을 얻어 이를 달고다니며 호흡
*여울벌레는 몸표면에 미세한 털로 물속에 미세한 공기방울을 포착
(나)물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이용하는 것:
*하루살이유충의 경우는 기관아가미를 배마디에 갖고있으며
*강도래유충과 같이 실모양의 기관아가미를 가슴마디에 갖고있다
*잠자리유충은 직장의 벽으로 용존산소를 호흡한다
2.서식처 적응
(가) 하천,강과 같은 유수생태계: 하루살이, 강도래, 날도래 등
(나) 연못,호수와 같은 정수생태계: 잠자리, 노린재 등
(다) 서식양식으로는 기는무리, 붙는무리, 굴파는무리, 헤엄치는무리
3.생활사
(가) 전단계를 물속에서 생활하는 종류
(나) 대부분이 알,유충,번데기,성충 중 일부단계만 물속에서 생활하는 종류
(다) 물속에서 알이나 유충으로 겨울을 나고, 봄 여름에 걸쳐 성충으로 우화
(라) 모기류와 같이 여름한철 짧은기간에 여러세대를 거침
(마) 하루살이같이 성충으로서 극히 짧은 기간만 생활
4.영양단계
(가)먹는 종류에 따라 식물먹는무리, 동물먹는무리, 부식질먹는무리
(나)먹이를 먹는 습성에 따라 써는무리, 긁는무리, 줍는무리, 거르는무리, 기생하는무리
(다)담수생태계의 1차소비자: 조류,식물조각,부식질을 먹는 하루살이와 날도래
담수생태계의 2차소비자; 포식성인 잠자리나 강도래
(라)수서곤충은 잡식성도 많으며 어류와 같은 대형육식동물의 먹이원이 되므로 담수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중요하다.
5.내성범위
다양한 담수생태계의 환경에 오랜기간 적응해왔으므로 종 특유의 내성의 범위를 가진다.
이런한 특성 때문에 수질환경을 평가하는 지표생물로 연구되어왔으며 하천의 수질평가에 수서곤충이 널리 쓰인다.
6.수서곤충을 이용한 수질평가
(가) 1등급: 플라나리아류, 가재류, 옆새우류, 하루살이류, 강도래류,
(나) 2등급:날도래류, 여울벌레류, 각다귀류
(다) 3등급:거머리류, 딱정벌레류, 잠자리류
(라) 4등급:실지렁이류, 깔다구류, 나방파리류
(마) 5등급:어떤 수서곤충(물벌레)도 살 수 없다
7.결과분석
(가) 1급수:마실 수 있는 물
간단한 정수과정을 거쳐 수돗물로 바로 사용가능하며 가장 깨끗한 물로 맑고 냄새가 없다.
(나) 2급수:비교적 맑은 물
수돗물로 만드는데 지장이 없으며 수영을 할 수 있는 물로 냄새가 나지않고, 바닥에 깔린 모래나 자갈이 보인다.
(다) 3급수;섞은 물이고 죽은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고약한 냄새가 난다.
수돗물로 적합하지않으며 공업용수로 쓰인다. 물고기가 살 수 없으며 실지렁이나 모기의 애벌레가 살고 더욱 오염되면 어떤 생물도 살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