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립돌보의 수업진행

2005년 1월 11일 | 갑천생태문화해설사

하천의 역할
하천은 단순히 ‘물이 흐르는 길’이 아니다.
삭막한 시멘트 문화 속에서 살아가는 도시민들에게 하천은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물길’만의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다.
물은 도심생활에 지친 시민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안락한
휴식을 가져다준다.
마음이 답답하고 어수선할 때 흐르는 물을 쳐다보면 차분해지는
것도 바로 이런 연유 때문일 것이다. .
깨끗한 수질은 우리 인간의 삶만 풍요롭게 하지 않았다. 깨끗한 물은 물고기를 노닐게 만들
었고 그 물고기를 먹이로 하는 새들의 천국을 만들었다.
하천 둔치의 토지
각종 생물들의 서식처 먹이 공급원 오염물질 정화 등의 기능을
한다
둔치 에서 식생이 사라진다면 하천생태계는 종 다양성이나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호안부가 습생식물로 덮여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 어류의 산란 및
피난처가 되고 많은 무척추동물 등의 서식장소 및 먹이가 된다
식생이란
일정지역에 많이 모여 자라는 식물의 집단을 말한다
식생은 하천유역을 보호해주고 비탈면을 안정시키는 한편 물을 맑게
하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생물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식생은 물을 공급하고 그 질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갑천의 철새
천연기념물 4종과 ( 붉은 배 새매, 원앙,새매 황조롱이)
도심하천에는 오색딱따구리,파랑새,뜸부기사촌등이 서식
겨울철새 40종 500마리 쇠오리, 흰뺨검둥오리,청둥오리등
여름철새 6종 100여마리 쇠백로, 중대백로등
쇠오리가 가장 많았으며 2000여마리 청둥오리 1500마리 알락오리
500여마리 비오리와 댕기흰죽지200여마리순이다
탑립돌보
보란 무엇일까?
상류로부터 급격한 물의 흐름을 일시 정체시키고 ,
물을 가두어 쓰기 위하여 하천의 중하류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는 일종의 작은 댐을 말한다
보를 설치할 때에는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가 윗물에서
아랫물 사이를 왕복할 수 있게 이동 통로를 만들어 놓아야
한다
또한 사람들의 교량의 역할도 한다.
이 돌보는 좀더 자연적인 형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보인다
많이 흩어져있는 돌들은 물고기들 의 서식처가 되고
휴식처가 되고 있다.
탑립돌보에 철새가 왜 많이 있을까?
하천이 살아있다(하천이 죽으면 사람도 살 수 없다)
갑천에
깨끗한 수질은 우리 인간의 삶만 풍요롭게 하지 않았다.
깨끗한 물은 물고기를 노닐게 만들었고 그 물고기를 먹이로
하는 새들의 천국을 만들었다.
자연하천구간과 인공하천구간의 새
다양한 종이 살고 있는 자연하천구간은 인공하천구간보다 5배 많
은 종이 살고 있다고 한다
왜 그럴까 생각하게 해 본다
이것들을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탑립에 있는 오리들 중 다섯가지를 사진보며 설명(엄마아빠팀과 아이들 팀을 미리 정해 알아 맞추기도 하면서-경쟁)
그리고 팀을 나누어 빨리 찾는 게임을 하려구 한다
예를 들면
아빠와 엄마팀과 아들 딸팀 두조로 나누어 빨리 찾는 팀에게
티켓을 지불한다
( 봉사티켓 -가족봉사할수 있는 것)
혼자 이생각 저생각에 빠져 머리에서 쥐가 날려 하네요
아휴~~ 힘들다
누구 좋은 생각있으시면 꼬리말 부탁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