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새만 보고다니면서
이 새들이 어디서 어떻게 오고,
이 새들이 갖고있는 진실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있었지요.
그래서 좀 찾아보고 함께 나누고자 정리해보았습니다.
아주 기초적인 것이지만요.
1. 철새의 종류
*여름철새: 봄에 와서 번식을 하고, 여름을 지낸후 늦여름이나 초가을에 떠나는 새(해오라기,꼬마물떼새)
*겨울철새: 가을에 와서 월동을 한 후 봄에 떠나는 새
*나그네새: 번식이나 월동을 하지 않고 잠시 머물렀다 가는 새
*텃 새;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새(참새,맷비둘기,까치)
*미 조: 태풍이나 기후의 급변등으로 한두마리 나타난 새
2. 철새의 이동경로
지구상의 조류 3분의 1이 이동을 한다.
*남북으로 이동하며 북쪽에서 번식하고, 남쪽에서 월동한다.
남부의 해조류 중에는 남극에서 북극 아일랜드로 이동하는 새도 있을 정도이다.
*동서로 이동하는 새도 있고,
*태평양을 가로질러 커다란 팔자모양으로 이동하는 새도 있다.
3. 철새가 이동하는 이유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이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비의 경우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는데, 겨울에는 먹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남쪽으로 가서 월동한다. 그러나 번식을 위해 먹이가 많이 소요되는 봄부터 여름까지는 새들이 너무 많아먹이경쟁이 치열한 남쪽보다는 그렇지않은 북쪽으로 이동해 자식을 키우는 것이 이동의 위험을 무릎쓰고라도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이동을 하는 것이다.
4. 이동중 겪는 불상사
새는 날씨를 예지하는 능력이 없다.
여행중 폭풍이나 안개, 강풍 등에 의하여 방향을 상실하고 밤사이에 먼거리로 날려가 아침에나 인식하지만, 때는늦어 육지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짙은 안개는 햇빛방향을 빗나가게 해서 불이 켜져있는 높은 빌딩이나 공군기지 바닥에 충돌하기도 하고, 눈보라나 태풍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알지못하는 해안가에 떨어지거나 바다에서 빈사상태로 전멸하기도 한다.
이동의 계절은 대개 태풍의 계절이기 때문에 한개의 태풍이 몇백만이라는 조류의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다고 한다.
4. 이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는 제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새는 에너지원은 피하지방이다.
새들이 이동할때는 거의 에너지를 보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이 끝나면 체중이 반으로 줄어드는 새도 있다.
5. 어떻게 목적지를 찾아가나
새의 뇌속에는 체내시계가 있어서 낮에는 태양의 위치를, 밤엔 별자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방위삼아 지자기나 풍향등를 이용한 종합적인 판단하에 일정한 방향으로 날아간다.
매년 제 둥지로 찾아오는 새의 경우는 어느정도 지형을 기억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6. 오리류의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행동에 따른 분류
*황오리류 : 대형의 오리류로 황오리, 혹부리오리
* 수면성오리 : 중형에서 소형의 오리류로 다리는 몸의 중앙에 위치해 땅위에서 잘 걷는다.
수컷은 늦여름부터 초겨울 사이에 암컷과 유사한 색을 띄는데 이를 변환깃이라 한다.
물위에 떠 있을 때는 꼬리부분이 수면위로 올라가며, 물에 거꾸로 서서 식물질을 먹으며,
날 때는 수직으로 바로 날며 날기위해 뛰지않는다.
(청둥, 흰뺨, 넓적부리, 쇠오리, 원앙, 청머리, 알락, 고방, 홍머리, 가창오리 등)
*잠수성오리 : 중형으로 몸은 수면성에 비해 짧고, 다리도 뒤에 붙어서 수면성과 비교해 잘 걷지못한다. 물위에서는 수면성에 비해 몸을 깊게 잠구고, 날개도 수면성보다 작아 날개 짓이 빠르며, 날때도 수면을 달리면서 난다. 주로 잠수해서 물속의 동물질이나 수초, 물풀 을 먹는다(흰죽지류와 비오리류)
*논병아리류 : 판족을 가진 물새로 물에 있을때 꼬리는 보이지않으며 목은 직립이다.
잘 날지를 못하며 날때는 물위를 오래 달리고, 위험에 처했을때는 날기보다 잠수를 한다.
7. 털갈이
오리류의 숫컷은 1년내내 화려한 색상을 하고있지만, 온몸을 털갈이하는 여름 한달에는 은폐효과가 있는 다갈색을 털빛을 한다. 털갈이를 하는동안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며 체온유지기능도 저하되고, 나는 능력도 저하되는데, 털갈이 동안은 완전히 비상력도 상실한다
8. 새의 시력
*1500미터 높이에서 사체를 찾는 독수리나 쥐를 찾아 상공을 순찰하는 매, 나뭇잎 뒤에 붙 은 곤충의 알을 찾아내는 솔새, 물속의 먹이를 쫒는 아비, 인간보다 8배의 예민한 눈을 가 진 새매등 새들은 뛰어난 시력을 갖추었고 전체 머리에서 뇌보다 안구가 더 클 정도이다.
*많은 새들이 돋보기와 망원경의 눈을 갖고있어, 한쪽눈으로는 지렁이를 찾으면서도 한쪽눈 으로는 습격의 위험을 피하기위해 정찰을 한다고 한다.
9. 새의 날개
공기의 저항을 덜받기위해 유선형으로, 양력을 얻기위해 날개의 아랫면이 안쪽으로 굽어져있다.
공기가 날개의 볼록한 윗면을 따라 흐를 때는 가속이 되기 때문에 기압이 저하되고 오목한 아랫면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느려져 기압이 약간 높아진다.
이러한 기압차이는 날개를 밑에서 위로 올려 미는 양력을 낳게 한다.
다양한 기류속에서 양력을 유지하며 날 수 있고, 위아래로 퍼덕이면서 추진력을 얻으며,
가장 큰 알바트로스의 경우 바람을 이용한 활강과 강하를 반복함으로서 날개를 퍼덕이지않고도 몇시간 동안을 바다에서 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