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갈대습지공원의 정화작용에관하여

2004년 11월 5일 | 갑천생태문화해설사

시화호갈대습지고원 홈페이지에서 옮겨보았습니다. 갈대의 정화작용과 인공습지의 정화작용에 관하여 좀 어렵긴하지만 정리되어있는 내용을 옮겨보았습니다. 참고하세요.
<시화호 갈대습지공원의 수질정화원리>
1.침전지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 고형물 등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역할과 유량을 균등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2.인공습지
*습지
① 습지에 사는 갖가지 식물의 줄기와 잎은 물의 흐름을 굴절시키고 물의 속도를 줄여 부유물질이 가라앉도록 한다.
②식물의 줄기와 뿌리는 오염물질을 영양분으로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③갈대 등 식물의 줄기 및 뿌리는 각종 부착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미생물
① 미생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부유상미생물과 수생식물의 줄기나 뿌리에 서식하는 부착미생물로 분류되며 물속에 녹아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물을 정화한다.
3.갈대습지 수질정화원리
갈대습지는 자연의 오염정화기능을 인위적으로 극대화시키는 방법으로 주 제거대상 오염물질은 유기물과 질소, 인 등을 들 수 있다. 습지내 오염물질 제거는 수생식물과 미생물군 등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와 침강 등 물리적인 처리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며 각 오염물질 및 제거방법과 처리효율은 다음과 같다.
BOD(Biological Oxygen Demand)제거
B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유기물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현탁성 유기물은 침강 및 흡착 등을 통해 침전지 및 습지에서 제거되고 물에 녹아있는 유기물은 습지식물 및 식물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제거되며, 이러한 반응에 필요한 산소는 수표면에서 일어나는 재폭기와 식물의 잎으로부터 뿌리층으로의 산소 전달로 이루어진다. BOD 제거물은 유입 유기물 농도가 높을 경우 60~90% 로 보고되고 있다.
부유물질(SS:Suspended Solids)제거
부유물질중 비교적 무거운 입자는 침전지에서 제거되며, 가벼운 입자는 얕은 수심과 느린 유속을 가진 습지내에서 침전 및 미생물에 의한 흡착에 의해 제거된다. 습지 수면이 식생에 의해 햇빛이 차단되지 않을 경우에는 조류가 발생되며, 방류수 중의 SS 증가와 DO, PH의 변화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질소(N)제거
습지에서 질소는 대부분 질산화와 탈질화의 과정 및 식물의 성장과정에서 영양분으로 이용과정에서 제거되며, 식물에 의한 제거물은 일부분이며 대부분 미생물에 의해 일어난다. 제거물은 약 20~90%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인(P)제거
많은 습지 시스템에서 인은 하수와 토양사이의 접촉에 제한되기 때문에 효율이 높지는 않으나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