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에서 볼 수 있는 하천의 유형

2004년 10월 29일 | 갑천생태문화해설사

갑천에서 볼 수 있는 하천의 유형
하천의 형태
1. 직류하천 :
도심하천의 하도가 곧게 뻗어 있는 하천
도심속에 있는 하천은 직강공사가 많아져서 이 하천의 형태로
인위적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2.자유 곡류하천:
뱀처럼 구불구불 사행하는 곡류 하천
하천의 하류 부근의 평지를 흐를 때 곡류 하면서 유로
를 자주 변경하는 하천을 말한다
자유 곡류하천은 측방 침식이 우세하여 하중도,우각호,구
하도등을 형성한다.
오늘날에는 농경지 침식과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위해 유
로를 직선화 하는 직강공사가 많아져 자유곡류 하천을 보
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갑천에서는 도안뜰옆에서 자연그대로 볼 수 있
는 형태의 하천으로 도심속에서 볼수 있는 자연하천구간
이므로 아주 중요한 곳이다.
이곳은 자유곡류하천에서 볼 수 있는 범람원(우각호)이 둠벙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가. 자연제방
자연제방은 지면이 주변보다 높아 홍수 피해가 적고, 모
래로 이루어져 배수가 잘 되므로 일찍부터 취락이 입지
하거나 밭, 과수원 및 교통로로 이용되어왔다.
갑천의 자연제방은 교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나.배후습지
배후습지는 주로 점토로 이루어졌으며, 배수가 불량하여
습지로 남아있거나 혹은, 이를 개간하여 논으로 이용하고
있다.
창령우포늪지가 이에 속한다. 갑천에서는 논농사를 주로
짓고 있다.
다. 우각호 [牛角湖] oxbow lake
곡류 하천에서 하도(河道)의 만곡(灣曲)이 커짐에 따라
상·하류 측의 만곡부
가 접근하게 되어 하도 사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게 된
다. 이와 같이 하
도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 결국 그 부분이 절단되어 유로
의 변경과 함께 새
로운 직선상의 하도가 형성된다. 이때 원래의 하도는 호
소의 형태로 남게
되는데 이같은 초승달 모양의 호소를 우각호 혹은 하적호
(河跡湖)라고 한
다.
갑천에서는 약간의 둠벙같은 형태로 우각호를 볼 수 있
다.
3. 감입곡류하천:
유로 변경이 어려운 하천
하천의 중상류의 산지 사이를 흐르고 좁고 구불구불한 하천
을 말한다.
하천 양안은 급사면인 공격 사면과 완사면인 활주 사면이 교
대로 분포하는데 활주 사면에는 하안 단구가 분포하고 있다
형성 과정은 자반의 융기 기후변화 하천의 곡류작용등 다양
한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갑천의 노루벌은 이 하천의 형태로 하천의 양안의 단 구면은
지형이 평탄하고 고도가 높아 농경지와 교통로로 이용되며
그 안쪽으로 취락이 발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