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강연을 정리해봅니다.

2004년 10월 14일 | 갑천생태문화해설사

지난번 곤충강연에 사용된 파워포인트 내용을 정리해봅니다.
참고하시고 많은 도움이 되시길바랍니다.
곤 충 강 의
1. 곤충이란무엇인가?
①절지동물 – 외골격, 체절제, 마디발
②절지동물문(Atrhopoda)
삼엽충아문(Trilobita) – 5~6억년 전 고생대에 번성
협각아문(Chelicerata) – 턱이 없고, 4쌍의 다리를 포함하여 6쌍의 부속지가 있다.
ex) 거미강(Arachinda) : 거미, 전갈류, 진드기
대악아문(Mandibulata) – 큰 턱을 가지고 있다.
ex) 갑각강(Crustacea), 다지류(Myriapods) – 노래기강지네강, 곤충강(Insecta)
2. 곤충의 역사와 번성
(1)곤충의 출현
①무시류의 출현 – 약 4억년 전, ex) 현재의 좀과 유사
②유시류의 출현 – 약 3억년 전
(2)곤충의 번성
①외골격
②날개가 있다.
③체구가 작다.
④짧은 생활사와 높은 번식능력
3. 곤충의 다양성
(1)동물의 종 수
Linne (1758) : 4,162 종
Mobius (1898) : 41만 5,000종
Myar ( 1969) : 107만 종
Gaston (1991) =? 500만 ~ 3,000만 종
(2)곤충의 종 수
①전 세계 : 약 150만 종의 동물 중 120만 종을 차지하며 약 30목 (벌목, 파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 노린재목, 잠자리목 등)
②한국의 곤충 – 30목 777과 10,240종
③대전의 곤충 – 16목 113과 824종
4.곤충의 생태
(1)곤충의 습성과 서식처
①곤충의 습성
– 포식자 , 부식자, 기생자
②곤충의 서식처
– 땅 속 혹은 지표면, 식물체 내외, 동물체 내외, 수중 혹은 수면
5.하천에서의 곤충 역할
(1)수서곤충
– 생활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중에서 생활하는 곤충류 (각다귀류, 부채하루살이, 왕잠자리, 줄날도래)
– 수서곤충은 물속에서 1차소비자, 부식자, 포식자, 또는 다른 생물의 먹이원이 된다.
(2)수변곤충
– 하천의 주변의 식물을 먹이원 혹은 서식처로 이용하는 곤충류 (날개띠좀잠자리, 검은 물잠자리, 고추잠자리)
– 수변곤충은 하천주변의 식물상 및 동물상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변곤충이 주변의 동물들에게 먹이가 되면 식물의 수분을 도와준다.)
6.지표종 (하천의 급수에 따라 서식하는 곤충)
-1급수 : 옆새우류, 가재류, 강도래류, 뱀잠자리류
-2급수 : 강하루살이류, 동양하루살이류, 날도래류
-3급수 : 거머리류, 연못하루살이류, 잠자리류
-4급수 : 실지렁이류, 잠자리류
-5급수 : 실지렁이류, 나방파리류, 깔다구류(붉은색), 꽃등에류
7.곤충관찰의 기법
– 채집이 아니고 관찰이다.
– 관찰준비물 : 포충망, 독병(곤충을 기절시키는 약품이 들어 있는 병), 삼각지(기름종이로 나비의 날개를 상하지 않게 잡도록 하는 것 ), 사진기, 채집통, 돋보기, 핀셑, 야장, 녹음기, 복장
– 관찰목적수립
– 야장기록 (조사일시, 동행자, 조사지역, 조사지환경, 시간, 날씨, 기록내용, 특이사항)
– 관찰 및 야장에 기록한 정보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