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의 발원지
대전의 젖줄이자 우리지역 문화의 발상지인 갑천을 따라 그 숨결을 느껴보는 날이다. 대둔산 태고사에서부터 신탄진의 금강합류점까지의 여정이 매우 길지만 빨리 그 흐름 따라 가고 싶은 마음이 앞섰다. 갑천의 발원지는 충남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대둔산 자락의 한 골짜기이다. 그 아래에 태고사가 자리하고 있다. 또 하나의 발원지로 꼽고 있는 곳은 수락계곡의 장군약수터이다. 어느 곳이 정확한 발원지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수락계곡에서 내려오는 물줄기의 수계가 더 길다.
대전을 벗어나 금산의 외곽을 타고 대둔산 태고사로 향했다. 하루 일정이 빠듯해서 대둔산을 올라 태고사까지 가보지는 못하고 주차장에서 차를 돌려 갑천의 시작점과 함께 내려가야 했다. 좀 아쉬웠지만 오늘은 갑천의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정도로 생각하고 마음을 달랬다. 언덕을 달려 내려오면서 큰 저수지를 만났다. 주차장에서 졸졸 흐르던 계곡물을 본 것 같은데 갑자기 넓은 저수지가 펼쳐져 있는걸 보니, 저 물이 다 산골짜기에서 내려왔다는 것이 신기했다.
중보실마을
저수지의 물들이 작은 내를 이루며 중보실마을로 들어간다.저수시 근처의 마을이 상보실이고 그 아래가 중보실인데 가운데 있는 보라고 하여 중보실, 중벌곡이라고 한다 넓은 마을길에 가을바람만 솔솔 불고 주인이 출타한 빈집이 고즈녁하기만 했다. 길 옆으로 도랑물이 흐르는데 산에서 내려온 그 물이다. 신기하게도 도랑 바로 옆에 집들이 줄지어 있고, 그 도랑가에 주인집 것인 양 보이는 빨래비누 등이 있었다. 갑천과 가장 가까이 사는 사람들이 중보실 마을사람들인 것 같다.
마을 한가운데로 흐르는 하천에 내려 대둔산을 올려다보고 빨래터에서 빨래하는 시늉도 내보고 마을을 빠져나왔다. 마을회관에서 잔치가 한창이었는데, 마을에 들어설 때 집집마다 그렇게 조용했던 까닭이 거기 있었다. 마을회관에 모인 사람들이 우리가 탄 봉고차를 향해 내려와 이것 좀 드시고 가라고 손짓한다. 고마운 마음에 웃음이 떠오르고 빈 집만 있었던 쓸쓸한 마을풍경이 정겹고 훈훈해졌다.
한삼천리
사정리를 지나서 벌곡면의 한삼천리를 지나는 갑천을 따라 달려간다. 한삼천리에는 백제 망국의 한이 서려 있는 곳이다. 벌곡면의 서쪽 경계에 누르재(황산벌)이 있는데 백제의 중요한 수비지역이었다. 이 누르재 길목 위의 황령산성을 무대로 계백장군이 5000의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의 5만대병과 치열한 전투를 전투를 벌였다. 백제군은 죽기를 각오하고 결사항전을 벌였으나 끝내 중과부적으로 패배하고 말았다. 당시 역사적 대결전장이었던 한삼천 주변의 세 골짜기에서 백제군과 신라군이 흘린 피와 땀이 냇물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 뒤 세 골짜기에서 피와 땀이 흘렀다 하여 한삼천(汗三川)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신양리 둑길
한삼천리를 지나 갑천은 양산리를 지나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신양리로 향한다. 최근에 신양유원지가 생겨 여름철이면 많은 사람들이 더위를 피해 찾아온다고 한다. 둑길 위에서 차를 내려 왜개연꽃이 피어 있는 곳을 강을 따라 잠시 걸어 보았다. 중대백로가 물이 세차게 흐르는 보 위에 버티고 서서 물속을 노려 보고 점심식사 감을 찾고 있다. 둑길에는 여러 가지의 들꽃들이 가을 햇볕을 받아 수줍게 피어 있다. 이름은 잘 몰라도(모르는게 걱정이다. 해설할 때 아이들이 물어보면 막힘 없이 알려줘야 하니까) 예쁘기 그지없다. 보라색 꽃이 대궁이를 따라 층층이 있는 꽃도 보았는데 그게 층층이 꽃이란다.(어쩜! 이름도 딱 맞게 지어놨네)
우명동 꽃산
조동리를 지나 우리는 대전으로 더 가까이 달렸다. 논산과 대전의 경계인 우명동에 다다르자 졸졸 흐르던 개울물이 강폭이 넓어졌다. 콸콸 흐르던 하천이 좁아지고 넓어지고 하는 조화속이 신기하다. 우명교를 지나니 산을 끼고 흐르는 강 가에 갈대가 무성하고 중대백로가 넓은 날개를 펼치고 슬로비디오자세로 우아하게 수면 위를 난다. 우명동 마을길에 들어서면 작은 바위산이 보이는데 참나리가 군락을 이루면 피는 곳이다. 그 바위가 꽃바위이고 작은 산은 꽃산이다. 이름이 참 예쁘다. <꽃산 가는 길>이란 김용택의 시가 떠오른다.
“당신 만나 환히 꽃 필 저기 저 남산은 꽃 없는 쓸쓸한
산 아니라 해맑은 해 어디나 돋는 나라, 눈 주면 늘
거기 꽃 피는 당신 찾아 오늘도 지친 이 몸 당신 찾아
가다가 저녁 연기 오르는 마을 저문 산속에 산 되어
깃듭니다.”
♬ 이런 막둥이가 늦잠에서 깻네요. 아침 밥 먹고 다시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