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장재완 기자>
![]() |
||
![]() |
![]() |
|
![]() |
▲대전지역 22개 시민단체들은 22일 오전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월평공원과 갑천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월평공원 관통도로 건설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서남부권 개발사업과 관련한 ‘동서대로’ 건설에 대해 시민·환경단체들이 대책위를 구성하고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대전의 허파로 불리는 월평공원과 천연기념물 등이 서식하는 갑천의 생태계가 파괴될 것을 우려하며, 대중교통 중심의 대안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YMCA, 한밭생협 등 대전지역 22개 시민환경단체들은 22일 오전 대전시청 앞에서 ‘월평공원-갑천 생태계지키기 시민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고립무원의 생태계인 월평공원의 숨통을 더 이상 조이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월평공원과 이를 끼고 흐르고 있는 갑천에는 원앙·새매·개구리매·황조롱이·수달·미호종개 등의 천연기념물과 말똥가리·흰목물떼새 등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어류와 조류 등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 일본에서만 분포하는 희귀종 식충식물 이삭귀개와 국제자연보존연맹이 정한 희귀종 봄처녀나비, 이 밖에도 늦반디불이·참뜰길앞잡이·모래거저리·명주잠자리 등 무수한 희귀종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라는 것.
특히, 월평공원은 대전 도심 속에 마지막 남은 숲으로서 철저한 규제와 함께 생태보존지구로 지정한 뒤, 보호해서 미래세대에 물려주어야할 중요한 유무형의 재산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전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서대로, 일명 ‘월평공원 관통도로’는 건설과정에서 이러한 우수한 생태환경을 파괴하고, 더 나아가 도로건설로 인한 사람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 오염원 배출로 인한 훼손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대전시가 추진하는 서남부권 개발은 이미 주택보급율이 100%를 넘어선 지 오래고, 낮은 출산율로 인구증가의 정체를 보이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반영할 때, 사실상 불필요한 난개발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데 더 큰 심각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서남부권 개발로 원도심 공동화는 더욱 가속화 되고, 수급불균형에 따른 다양한 문제도 발생할 것이라며, 월평공원관통도로 뿐만 아니라 서남구권 개발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해 봐야 한다는 것.
▲시민단체 회원들이 대전시의 도로건설로 월평공원이 피를 흘린다는 내용의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이들은 대전시에 대해 ▲월평공원 관통도로 백지화 ▲월평공원과 갑천 습지 보호를 위한 생태계보전지역 및 습지보호구역 지정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마련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월평공원 관통도로’ 건설 백지화 투쟁 사업을 2007년 상반기 최대 중점사업으로 정하고, 서명운동과 캠페인, 탐사활동, 인간 띠 잇기 행사 등의 다양한 대책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시민단체들의 우려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도로개설의 필요성에는 대부분의 시민들이 동의하는 만큼, 최대한 친환경적인 공법을 동원, 생태계 훼손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생태계 훼손의 최소화를 위해 ▲터널입구 절취부의 최소화와 절취부분의 친환경적 복구 ▲교각과 교각 사이 100m 이상으로 확대 ▲갑천 유수보에 교각 미설치 ▲월평공원 최단거리 터널 횡단 등의 다양한 공법들을 연구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도로개설 이전에 실시되는 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 결과 등을 놓고 시민단체와 토론회 등을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 반영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