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벌에서 만나는 갑천의 민물고기들 현장에서 변신하신 홍박사님의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참여
역시 열강하시는 홍박사님
그리고 더욱 열심히 강연에 임하시는 선생님들의 모습
10월 8일 제 9강 갑천의 민물고기 강연
국립중앙과학관의 홍영표박사님께서 열강해주셨습니다.
tjb에서 촬영에 열심인 VJ.
1.백운기 박사님 2.열심히 새를 관찰하는 우리선생님들
탑립돌보 에서
1.이토변실(B형)이 뭔가요? 2.돌보가 있는 강의풍경.
탑립돌보의 새들
탑립돌보 원촌동 하수종말처리장 앞의 갑천에 인위적으로 크고 작은 돌들을 깔아 돌보를 만들었다. 강폭이 300M에 이르고 돌보를 만든 길이는 100M정도이다. 물이 흘러 내려가면서 돌에 물살이 부딪혀서 여울이 만들어지는 곳이 많다. 둔치에는 갈대, 고마리, 여뀌 등이 있어 물의 정화작용이 이루어 진다. 돌보에 걸려 모래섬이 만들어지고 모래섬에는 수풀이 형성되어 쇠오리, 흰뺨검둥오리들의 쉼터를 제공해주고 있다. 10월 6일 탑립돌보에서 가장 많이 본 것은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대전플러스 기사
'물길이 쉬어가는 그곳에서 생명을 만나다.~' 물줄기를 따라 굽이굽이 흘러 이 내 저 내 만나다 보니 내가 사는 곳이 보이고, 없어진 산두덩이나 문드러진 논밭 군데군데 흔적을 더듬으니 편평해진 들녘 찾고, 덮어버린 물길 찾고……. 역사와 함께 숨쉬다가 대전으로 머물게 된 그 땅을 내 눈에 모두 넣고 내려오니 비로소 내 사는 땅이 내 손바닥위에 그려진 느낌 정말 귀한 보물지도를 손에 쥔 뿌듯한 감동이었습니다. (중략) 거듭되는 수업마다 감사의 마음으로 열중하고 싶습니다. 때...
TJB 생방송"오늘" 방송 예정
오늘 오후 6시 20분 TJB 생방송"오늘" 프로그램에 "갑천 생태문화 해설사" 여러분들의 모습이 고스란히 방송이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어제 조류를 관찰하시는 모습을 담았는데 과연 어떤 모습으로 나올지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어릴때 흔히 불러봤던 노래가 문득 생각이 납니다. "텔레비젼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드디어 오늘...그렇게 목놓아 불러던대로 텔레비젼에 나옵니다. 기념으로 간직하시고 싶으신분은 VTR로 녹화를 해두셔도 좋을듯 합니다. 이상...
출석하고 확인들어갑니다
암수 똑같이 뺨이 하얗고 좌 우 엉덩이 부분에 하얀 선이 있다 탑립돌보에서 청둥오리 다음으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새이다 검은색 부리 끝에 노란 부분이 있다. 수풀에서 잠을 잔다. 먹이 - 다슬기, 애벌레, 풀씨, 나락 요기 아래에 정답을...
조류수업 후 아이와의 잠깐 대화
“엄마 오늘은 해설팀서 뭐하고 왔어?” (아들은 팀이 무척 중요해서 보통 엄마다니는 데를 해설팀이라고 부름) “새에 대해서 공부했지..." 그러나 지금 당장 데리고 나가 보여주지도 못하면서 흰뺨검둥오리가 어떻고, 쇠오리가 어떻고, 왜가리가 어떻고 이야기 하기가 참 어렵더군요. 스쿠프를 통해 훔쳐 본 세상 생명의 눈동자, 부리에 걸쳐져 햇빛을 튀겨내는 은빛 먹이감, 목덜미의 본능적 꿀꺽임, 머리부터 발끝까지 요염히 감도는 우아한 곡선의 미학 이제 그냥 새가 아닌...
7명씩 줄서서 확인 들어갑니다
백운기 박사님 수업 참 특이하게 하세요. 줄서요! 확인작업! 손들어욧! 흔들어 흔들어! 백운기 박사님 말씀 참 재밌게 하세요. 예쁜 여잔 다 오토바이 타고다니대요 오늘은 큰 새를 봅시다(헬리콥터)
탑립돌보에서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쇠오리 구분하지요?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구분하지요? 자~~~~~~~~~~이제 우리는 갑천의 흔한 새들 중 몇%를 알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