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책을 소개 합니다.

동사무소 에서 책을 빌려 보았습니다. 우리가 참고 할 만한 책인것 같아 서요.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1 ,2 지은이 조셉b.코넬/장성욱 옮김 출판사 우리교육

고통스러운 육교 위, 위험한 육교 아래

사람이 다니라고 만든 육교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육교는 기본적으로 사람 좋으라고 만들게 아니라 차량 소통을 원할하게 하려고 만든것 입니다. 어지간한 곳은 계단이 보통 60개 이상은 됩니다. 또 경사는 급하고 계단 폭은 좁아서 육교를 오르내리는 게 영 불편 합니다. 노인이나 어린이 같은 경우에는 육고를 이용하는 게 힘이 듭니다. 그러나보니, 육교 밑도로를 무단횡단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사고도 많이 납니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전국의 고속도러에서 차량에 치어 죽은...

다음날 은행나무

우리가 찾아간 날이 황금 은행나무를 볼 수 있는 2004년의 마지막 날 이었습니다. 오늘 다녀왔는데 사진을 보시면 잎이 다 떨어졌지요... 제가 그래서 가자고 했습니다. 제 딸 혜정이입니다.

탑립돌보에서 새를 관찰한다기에….

11월 11일 오후 3시-3시30분 사이에 탑립돌보를 탐조했습니다. 탑립돌보를 기준으로 갑천교와 원촌교 사이에 대략 2000여마리의 새를 관찰할 수 있었구요. 1. 왜가리 2. 중대백로 3. 쇠백로 4. 흰뺨검둥오리 5. 쇠오리 6. 청둥오리 7. 흰죽지 8. 댕기흰죽지 9. 홍머리오리 10. 알락오리 11. 넓적부리 12. 논병아리 13. 백할미새 14. 삑삑도요 15. 황조롱이 탐조결과입니다. 넓적부리는 현재 원촌교 하류 200여미터 지점의 모래섬 주변에서 20여마리...

금요일 도시락 지참합니다.

마을조사 수업에 점심을 사먹을 마땅한 곳이 없다고 하시네요. 부담스러우시더라도 도시락을 간단히 지참해주셨으면 합니다. 비가 와서 기온이 많이 내려갔네요. 건강 조심들 하시구요.

치성을 드리면 아들을 주는 신목

은행나무의 몸 속에는 프라보노이드라는 살균성분이 들어있어서 병충해를 거의ㅣ받지않으며, 식욕이 왕성한 딱정벌레 마져도 굶어죽을지언정 은행잎을 먹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천년을 이어오는 보호수들이 은행나무에 많은 거구요. 어제 다달다달 매달린 그 많은 열매들은 땅에 떨어져도 저절로 싹을 틔우지 못할 만큼 전적으로 사람의 도움에만 의존해야하는 나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