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봄을 데리고 4월 대청호보따리가 옵니다~
유권자와 함께하는 개표! 개표참관인 공모안내
선거일에 투표할 수 없다면 '사전투표'로 OK!
3월 대청호보따리 배송 완료~
매월 네 번째 수요일마다 찾아오는 푸짐한 농산물꾸러미! 3월의 대청호보따리가 네 번째 수요일이었던 지난 23일에 미리 신청해주신 44가구에 배송되었습니다. 아카시아효소를 자양분으로 키워낸 금산 금성면 이호순 생산자의 ‘유기농쌈채’ 겨울철농사로 보리를 거두어 구수하게 볶아낸 옥천 안남면 원영순 생산자의 ‘보리차’ 지난 초겨울 흐리고 비오는 중에도 고생해서 거둔 옥천군 안남면 송윤섭 생산자의 ‘유기농토마토’ 안남농민들의 경제공동체인 안남배바우영농조합에서 직접 거두고...
3/29 도안 갑천지구 친수구역 개발사업 대안마련 토론회
도안 갑천지구 친수구역 개발사업 대안 마련 토론회 2016년 3월 29일 오후 2시 대전광역시청 3층 세미나실 * 문의 : 대전충남녹색연합 042-253-3241
금강하천감시단 활동이 발대식과 함께 힘차게 시작되었습니다~
2016대청호유역하천센터 하천감시단 발대식이 지난 3월17일 오전10시에 옥천군 다목적회관 강당에서 있었습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대전지역 하천감시단원 다섯 분과 함께 발대식에 참여하였습니다. 하천감시단 발대식은 금강하천감시단이 함께 올해의 활동에 대한 포부를 밝히고 다짐을 하는 자리로 진행되었습니다. 내빈의 축사와 함께 감시단원 위촉장 수여식이 진행되었습니다. 대전지역 하천감시단원 중에서는 동구 주산동 이재용 통장님께서 대표로 단상에 나가 위촉장을 받으셨습니다. 위촉장 수여...
에너지자립마을의 지속가능성 워크샵에 다녀왔습니다
전국에 에너지자립마을 사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서울시 성북구, 은평구, 동작구 성대골, 경기도 안산시, 전주시, 순천시 등 다양한 곳에서 전기를 절약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절전소 운동이 진행 중인데요. 대전에서도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마을어린이도서관, 어린이 교육시설 등이 함께 2011년부터 절전소 운동을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10월 15일, 서울혁신파크에서 이와 같은 에너지자립마을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보는 워크샵이 개최되었습니다. 1시부터 시작된 이번 행사는...
[취재요청서]대전시는 시민의 소리, 생명의 소리를 들어라! 갑천문화제 진행
‘대전시는 시민의 소리, 생명의 소리를 들어라!’ 9월 22일 오후6시30분 대전시청 북문 앞 갑천문화제 진행 도안갑천지구친수구역개발사업백지화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와 주민백지화비상대책위원회는 9월 22일 오후6시 30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갑천지구 개발사업 추진중단과 사업 재검토를 요구하는 갑천문화제를 진행합니다. 갑천문화제는 ‘대전시는 시민의 소리, 생명의 소리를 들어라!’란 주제로 시민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과 문화예술인의 공연 프로그램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대기오염모니터링 중앙로 특별조사 합니다!
2015 대전시민대기오염모니터링이 시작됩니다! 대전시 인구대비 승용차 이용률은 전국 7개 주요도시 중 3위로 높고, 대중교통 이용률은 전국 7개 주요도시 중 6위로 매우 낮은 도시입니다. 대전시 내 자동차는 1년 평균 약 1만3천대 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을 배출하는 모든 발생원을 통틀어 자동차는 이산화질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요인입니다. 2014년 대기오염모니터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앙로 구간의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는 37.2ppb로, 세계보건기구의 권고기준보다...
9월 12일 맹꽁이모니터링 결과발표회에 초대합니다.
유난히 뜨거웠던 올 해 여름 맹꽁이를 찾아 다니는 시민들이 있었습니다. 바로 2015 대전 맹꽁이 모니터링 참가자들입니다! 2015 대전 맹꽁이 모니터링은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서식처를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중요한 활동이었습니다! 돌아오는 토요일에 맹꽁이를 조사한 내용을 발표하고, 조사할때의 에피소드나 조사방법들을 함께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맹꽁이 모니터링 참가자들과 녹색연합 회원들, 대전시민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2015 맹꽁이 모니터링 결과발표회 일시 :...
마을에너지간사 첫번째 후속모임
지난 5월 개최된 의 후속모임이 9월 2일(수)에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각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10분 가량의 PPT를 준비해 발표하기로 했는데요, 아쉽게도 과제가 너무 어려웠는지 단 한 분만 숙제를 해오셨습니다ㅠㅠ 참가자들은 이론에 치중된 강의 보다는 활동과 놀이에 집중된 강의가 좋겠다고 의견을 내주셨습니다. 이를 반영해 다음 모임에서는 신간 환경 어린이도서를 각자 선정해 함께 읽고, 도서를 선정한 이유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습니다. 다음 후속모임은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