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오드누출성명서[1].hwp
원자력연구소 방사성 요오드 누출사건에 대한 우리의 입장
지난 15일, 대전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5월 중 채취한 강수와 낙진시료에서 방사성 요오드(Ⅰ131)가 검출되었다는 보도를 접하고 우리는 경악을 금할 수 없다. 이는 작년 4-5월,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연구용 원자로(일명 하나로)에서 방사능 물질인 삼중수소가 함유된 중수가 누출된 사건이 일어 난지 불과 1년 만의 일이다.
이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대전지역의 환경시민단체 16개가 모여 시민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원자력연구소 안전망을 구축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원자력연구소 측은 환경에 무해한 미미한 양의 누출이라는 말만 되풀이 하며 시민들의 목소리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번에 원자로를 가동하던 중, 또다시 방사능 물질인 요오드131이 누출된 사건에 대해서도 WHO(세계보건기구)에서 권고한 음용수 기준인 10Bq/ℓ에 비해 낮은 수준이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누출된 방사능의 양이 아무리 미미하더라도, 빈번히 일어난다면 결코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더구나 원자력연구소가 위치한 지역은 도룡동, 신성동, 어은동 등 주거밀집지역이 인근에 있으며, 테크노밸리의 산업단지와 주거단지가 근접한 지역이다. 이러한 인구밀집 지역에 아무런 시민 감시 체계 없이 관련 연구소 등 전문가 집단만이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우리는 일반시민들과 유리된 전문성에 대한 우려를 금치 못하며 현재의 안전망에 문제가 없는지 지극히 의심스럽다. 이에 우리는 작년에 이어 시민과 함께 원자력 안전망을 구축할 것을 역설하는 바이다. 원자력에 대한 논제를 시민사회의 의제로 만들어 원자력에 관한 전반적 상황을 지역사회에 공개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요구하는 바이다.
현재 연구용 원자로 추가 증설계획이 있으나 이 또한 지역사회와 협의한바 없어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금이라도 원자력연구소는 본 대책위가 요구하는 지역주민, 시민과 함께하는 원자력 안정망 구축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하여 지역사회와 소통하기를 바란다.
2005. 6. 16
원자력안전망 구축을 위한 시민대책위원회
(사)대전실업극복시민연대일어서는사람들▪(사)유성민주자치시민연합▪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전여민회▪대전여성환경포럼▪대전외국인노동자종합지원센터▪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대전충남녹색연합▪대전충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대전충남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대전충남생명의숲▪대전환경연합▪대전YMCA▪대전흥사단▪민주노동당대전시지부▪충청지역노점상연합회▪민들레의료생협(참관)
문의 : 대전환경운동연합 김종남 사무처장 (042-331-3701)
대전충남녹색연합 박현주 부장 (042-253-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