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골프데이_성명(97).hwp
대전충남녹색연합, 4월 29일 세계 ‘NO GOLF DAY’ 기념 성명
충남도와 대전시는 환경파괴의 주범 골프장 건설을 지양하고 환경친화적인 국토관리 정책을 실시하라!
대전충남지역 운영 중인 골프장 면적 910만㎡ – 예당저수지(910만㎡)면적과 비슷
대전지역 운영 중인 골프장 면적 147만㎡ – 월평공원(375만㎡)면적의 40%
대전․충남지역 곳곳에서 주민 및 환경단체와 마찰
충남도와 대전시 환경친환적인 국토 관린 정책 시급
최근 대전∙충남지역에 골프장 건설 붐이 일어나면서 많은 우려와 갈등이 양산되고 있다. 충남지역에 2개소가 공사 중에 있고 5개소가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대전시도 1곳이 추진되고 있어 대전∙충남 지역의 골프장 건설 열기는 광풍 수준이다.
이러한 골프장 건설 광풍속에서 맞는 4월 29일 세계 ‘NO GOLF DAY’ 는 우리 지역민들에게 의미 심장 하다.
세계 NO GOLF DAY는 지난 1993년 아시아 시민사회단체들이 골프장의 환경·사회적인 문제를 해결코자 제1회 세계 노골프데이를 탄생시켰고, 올해로 12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환경단체의 지속적인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자치단체, 그리고 정치권은 골프의 확산에 오히려 힘을 써왔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의 골프대중화 선언 발언 이후 정부가 각종 규제완화를 추진하였고, 이제 각 지자체는 물론이고 육·해·공군까지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 충청지역은 경기도 지역에 비해 토지가 저렴하여 새로운 골프장 투자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어 더욱 문제이다. 서해안 고속도로와 고속철도로 접근성이 좋아진 태안일대와 경기도 접근 지역인 천안일대에 집중적으로 골프장이 생기고 있다.
충남지역에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은 도고 C.C, 코오롱 우정힐스 C.C, IMG National C.C, 찬안상록 C.C, 에딘버러 C.C, 계룡대 군골프장(2개소), 서산 해미 군골프장 총 8개소로 총 144홀로 총면적은 763만㎡ 이다.
대전지역은 유성C.C, 대덕연구단지내 골프장 등 2개소로 총 27홀 총면적 147만㎡이다. 이 면적은 월평공원(375만㎡)의 40% 정도 되는 면적이다.
대전과 충남지역의 운영중인 골프장의 면적은 총 910만㎡이다. 이 면적은 충남지역에서 제일 큰 저수진인 예당저수지의 면적 990만㎡과 맞먹는 면적으로 충남지역의 골프장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대전충남지역의 골프장 면적은 공사 중이거나 사업추진 중인 면적을 합치면 2배이상이 돼 더욱 심각한 상황이 된다. 공사 중인 곳은 충남지역이 아우내 C.C, 리치빌컨트리 C.C 2개소로 총 36홀, 100만㎡ 이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충남지역 정안 C.C, 백제 C.C 등 5개로 총 114홀로 573만㎡이 된다. 대전지역은 자운대 군골프장이 9홀, 23만㎡, 보문산 골프장이 6홀, 17만㎡ 등이 추진 중에 있다.
대전과 충남지역의 골프장 면적은 기존의 910만㎡에 건설 중이거나 사업 추진 중인 골프장 면적 581만㎡가 추가되어 향 후 수년 안에 1491만㎡의 골프장 면적이 조성되게 된다.
특히 공사 중이거나 사업추진 중인 골프장 중 태안군에 3개소가 있어 집중되어 있는데 신두리 사구 및 해안 등 잘 보전되어 있는 자연환경을 크게 위협하고 있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와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대전 또한 규모는 작지만 자운대 골프장에 이어 대전도시개발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보문산 퍼블릭 골프장이 환경단체 및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을 받고 있다. 예산군 골프장은 지역주민과 대전충남녹색연합의 지속적인 반대운동으로 현재는 소유권 문제로 소송이 진행되고 있어 사업은 전면 중단되었다.
골프장 건설은 충남과 대전지역 곳곳에서 각종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지하수 고갈 및 농약 피해 등 골프장의 심각한 환경문제와 주민 피해는 물론이요, 한국의 지리와 여건에 맞지 않아 필연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충남도와 대전시는 겉으로만 환경과 주민 의견수렴을 말 할 것이라 아니라, 정책과 행정에 환경과 주민의사를 제일 우선에 두어야 할 것이다. 환경은 우리 지역민들에게 생활이며, 복지며, 재산이며, 산업이며, 미래이기 때문이다.
충남도와 대전시는 친환경적인 국토 관리 계획을 통하여 21세기에 걸 맞는 국토 관리와 살기 좋고 쾌적한 주민 환경을 조성을 해야 한다. 지속해서 골프장 건설을 묵인하거나 유도한다면 강력한 시민 저항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다시 한번 충남도와 대전시의 친환경적인 국토 관리 정책을 촉구 한다.
2004. 4. 22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 김규복, 한원규, 김병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