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완 회원 (오마이뉴스 기자)
지난 1일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위원장 박선숙 환경부차관)의 통과로 공사가 재개된 국도1호선 두마-반포 간 확·포장 공사에 대해 환경단체들이 사업의 백지화와 건교부장관·환경부장관의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_006_1.jpg)
환경비상시국회의, 대전충남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충남생명의숲 등 환경단체 회원 50여명은 21일 오전 11시 공사현장인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서 ‘자연공원법 위반, 계룡산국립공원 관통도로 백지화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중장비와 공사로 훼손된 언덕에 ‘자연공원법 위반 건교부장관·환경부장관 퇴진’, ‘계룡산국립공원 관통도로 백지화’라고 씌인 대형 현수막을 걸고, “국립공원 훼손하는 노무현 정권 규탄한다”,“대통령은 자연공원법 위반자를 즉각 처벌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공사의 중단을 촉구했다.
_016_1.jpg)
자유발언대에 나선 윤주옥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은 “작년 꼭 이맘때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다시는 국립공원을 관통하는 도로를 건설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는데, 겨우 1년도 지나지 않아 우리는 또 계룡산국립공원의 훼손현장에서 가슴을 칠 수 밖에 없게 됐다”고 한탄했다.
윤 국장은 이어 “지난 1일 국립공원을 지키라는 임무를 부여받은 환경부 국립공원위원 12명중 9명이 계룡산관통도로를 찬성했고, 반대는 단 1명뿐이었다”며 “국립공원훼손에 앞장서는 국립공원위원회는 당장 해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종남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도 “계룡산관통도로 중 200미터가 어떤 개발행위 또는 형질변경도 불가능한 자연보존지역을 통과하고 있는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며 “환경부가 이를 몰랐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혹시 이러한 사실이 외부에 알려질까 봐 쉬쉬하지는 않았는가”라고 비난했다.
이어 발언에 나선 박정현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노무현정권의 반환경정책에 맞서 광화문 차가운 시멘트 바닥에서 날밤을 새우고 있는 많은 환경운동가들에게 미안하다”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_021_1.jpg)
박 처장은 이어 “우리는 결코 여기에서 좌절하거나 절망하지 않고 끝까지 싸워서 계룡산을 지켜낼 것”이라며 “개발독재로 무장한 노무현정권은 자연공원법을 위반한 건교부장관과 환경부장관을 처벌하라”고 주장했다.
김제남 녹색연합 사무처장이 낭독한 성명서를 통해 “우리는 북한산국립공원에 이어 계룡산국립공원의 심장부를 뚫는 공사를 강행하려는 건설교통부의 파렴치함에 분노하며, 거짓과 허위자료로 누더기가 된 환경영향평가에 협의한 환경부의 존재 이유를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노무현 정부는 지금 과거 개발독재정권 시대에도 없었던 여러 가지 폭거를 단행하고 있다”며 “계룡산국립공원 관통도로는 지금이 왜 환경비상시국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는 증거이며, 우리가 노무현 환경파괴정권에 맞서 더 강력하게 투쟁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_015_1.jpg)
이들은 또 앞으로 전국의 환경단체들과 연대하여 국민감사청구·대국민 홍보활동·공사중단 촉구활동 등을 통해 계룡산관통도로의 부당성을 알려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은 큰 물리적 충돌없이 1시간만에 끝났으며,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공사예정지인 계룡산 동월계곡과 자연공원법이 적용되는 자연보존지역을 둘러보며 현지조사활동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