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개혁 없는 요금인상 반대

2004년 6월 21일 | 자연생태계

“버스개혁 없는 요금인상 절대 안돼!”
대전시민사회단체, 거리서명 ·1인시위 나서
장재완(jjang153) 기자
▲ 6월 18일 으능정이 거리에서 펼쳐진 대전지역시민단체들의 ‘버스요금인상반대를 위한 거리서명운동에 시민들이 서명하고 있다.
ⓒ2004 오마이뉴스장재완

“시내버스 요금을 또 올린다고요? 시민들이 봉입니까?”
“요금 인상된 지 얼마나 됐다고 또 올려요? 그것도 200원씩이나?”

오는 7월1일 대전 시내버스 요금이 23%-40%까지 인상된다. 일반인의 경우 현금승차시 700원에서 200원이 오른 900원으로 28.57%가 인상되며, 청소년은 현금승차시 500원에서 700원으로 40%가 인상된다.

이러한 버스요금 인상을 접하는 대전시민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못해 당국의 정책에 비난을 쏟아놓는다. 특히 버스업계와 당국의 서비스개선약속에 대해서는 시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독설을 쏟아내기도 했다.

동구 용전동에서 용운동으로 버스를 타고 학교에 등교한다는 안현(22, 남)씨는 “목적지에 가려면 버스를 갈아타야 하기 때문에 왕복하게 되면 하루 800원을 더 부담해야 된다”며 “경기가 어려워 국민들의 소득이 늘지 않은 상황에서의 버스요금인상은 서민들의 호주머니를 털어서 업계의 이득만 챙겨주는 꼴”이라고 말했다.

동구 호동에서 중구 은행동으로 버스로 출퇴근을 하는 이은정(21)씨는 “항상 버스요금이 인상될 때마다 서비스개선을 약속했지만 버스노선이 줄어드는 등 더 불편해지기만 했다”면서 “당국의 서비스개선 약속은 시민을 속이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버스로 등하교 한다는 조혜림(18), 이은경(18)씨도 “지금도 버스이용이 너무 불편해서 택시를 자주 이용하거나 봉고차를 이용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요금이 인상되면 시민들이 버스이용을 더욱 멀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지역시민단체, 거리서명 ·1인시위 나서

▲ 으능정이 거리에서 펼쳐진 시내버스요금반대 거리서명운동.
ⓒ2004 오마이뉴스장재완

이처럼 버스요금인상 방침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팽배한 가운데 대전지역 시민단체들이 ‘시내버스요금인상반대 캠페인 및 거리서명운동’에 나섰다.

18일 오후 4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경전철반대 BRT시스템 전면도입시민대책위원회 회원 20여명은 주말 오후 도심을 찾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홍보물을 나누어주면서 시내버스요금인상반대운동에 적극 동참해줄 것을 호소했다.

대전참여자치연대 금홍섭 시민사업국장은 길가는 시민들을 향해 “시민들이 동의하지도 않고 납득할 수도 없는 요금인상을 대전시가 강행하려 하고 있다”며 “요금인상을 막아낼 수 있도록 시민들이 함께 해 달라”고 서명운동 동참을 촉구했다.

이러한 시민단체들의 호소에 대해 시민들의 참여는 뜨거웠다. 거리에 나선 시민들은 서명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으며 시민단체들의 활동을 격려하기도 했다.

또한 시민단체대표들의 1인 시위도 이어지고 있다. 18일 오전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이광진 사무처장과 전교조대전지부 승광은 지부장은 각각 대전역과 시청북문에서 출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시내버스요금인상을 반대’구호가 적힌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펼쳤다.

이들의 1인 시위는 오는 24일까지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시민단체 “획기적인 교통정책 시급” – 대전시 “LRT-BRT 선택 고심중”
시민단체들의 주장은 획기적인 시내버스 정책이 마련되기 이전의 버스요금인상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것. 즉 지난 2002년 버스요금인상과 보조금이 지급된 이후 시내버스 대당 하루 이용승객이 573명에서 350명으로 격감해 시내버스 회사의 적자는 더욱 심화되었다는 것이다.

때문에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날 수 있는 획기적인 정책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요금인상은 시민들에게 부담만 가중시킬 뿐 회사, 당국, 시민 모두에게 피해만 가중시키는 일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자동차 중심의 교통정책에서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정책으로의 정책전환, 급행버스시스템(BRT)도입, 무료환승시스템 도입 등을 통한 전면적인 교통정책의 변화가 급선무라는 것이다.

현재 대전시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LRT(경전철)와 BRT(급행버스시스템)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시는 그 동안 외부 용역과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국장급 이상의 의견을 들어왔으며 빠르면 이달 말경에 최종 결정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 장재완 기자

2004/06/18 오후 10:58

ⓒ 2004 OhmyNews
장재완 기자 의 다른기사 보기